한국 제약사·국제비영리재단 손잡고 뎅기열 치료제 개발

안희

입력 : 2025.02.04 18:21:13


뎅기열 치료제 공동개발 업무협약
(제네바=연합뉴스) 안희 특파원 = 오상기(왼쪽) 현대바이오사이언스 대표와 국제 비영리 소외질환신약개발재단(DNDi)의 다이스케 이모토(오른쪽) 비즈니스 개발·제휴관리 디렉터, 이사벨라 히베이로(가운데) 바이러스 질환 클러스터 디렉터가 4일(현지시간) 서울 현대바이오 사무실에서 뎅기열 치료제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prayerahn@yna.co.kr 2025.2.4.

(제네바=연합뉴스) 안희 특파원 = 의료 접근이 어려운 저소득 국가에서 주로 발생하는 각종 소외질환의 치료법을 연구해온 국제 비영리기구가 한국의 제약사와 손잡고 뎅기열 치료제 개발에 나선다.

국제 비영리 소외질환신약개발재단(DNDi)과 현대바이오사이언스(현대바이오)는 4일(현지시간) 뎅기열 치료제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뎅기열은 모기 등에 물린 상처로 바이러스가 침투해 걸리는 열대성 소외질환이다.

기후변화 가속화로 지난해부터 발생 지역이나 감염자 수가 눈에 띄게 늘었다.

이날 공개된 MOU는 현대바이오의 범용 항바이러스제 물질인 제프티(Xafty)를 주성분으로 삼아 경제적이면서도 안전한 뎅기열 치료제를 신속히 개발한다는 내용이다.

세계 곳곳에 사업망이 있는 DNDi와 현대바이오의 기술이 만나 소외지역 보건 개선에 기여하겠다는 취지다.

두 기관은 공동 임상연구를 진행하고 신약 규제·승인 절차를 함께 관리하며 연구자금 및 자원 확보에 필요한 글로벌 협력도 추진한다.

현대바이오는 DNDi에 비독점적 라이선스를 제공함으로써 제프티가 널리 사용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두 기관은 현재까지 미국 식품의약국(FDA)이나 유럽의약품청(EMA)에서 승인된 뎅기열 치료제가 없기 때문에 제프티를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뎅기열 치료 방안으로 개발할 필요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이사벨라 히베이로 DNDi 바이러스 클러스터 디렉터는 "현대바이오의 혁신적 약물전달체(DDS) 기술과 DNDi의 글로벌 보건 네트워크의 결합으로 소외질환 치료제 개발이 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상기 현대바이오 대표는 "이번 MOU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ESG(환경·사회·기업지배구조) 경영의 일환"이라며 "안전하고 효과적인 뎅기열 치료제를 저소득국에 저렴하게 공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prayerahn@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2.04 22:59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