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인중개사협, '엇박논란' KARIS 개편…새 집값 지수 연내 출시

이번 달부터 실증 실험 실시…기존 통계와 보조 맞출 듯
오예진

입력 : 2025.02.09 07:07:00


한국공인중개사협회
[한국공인중개사협회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오예진 기자 = 공인중개사협회가 공공기관과 상반된 통계로 시장 혼란 가중 논란을 빚었던 '부동산통합지수시스템'(KARIS)을 개선해 조만간 서비스를 재개한다.

9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공인중개사협회는 최근 부동산 가격 추이를 확인할 수 있는 지수와 부동산 가격을 예측하는 지수 개발을 마쳤다.

지수에는 지역별 가구 수나 인구 이동, 소비자 심리 지수, 경제 상황 등이 종합적으로 반영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통해 한국부동산원이나 KB부동산이 제공하는 매매 가격 지수처럼 부동산 시장을 좀 더 객관적이고 심층적으로 반영하는 부동산 지수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공인중개사협회는 지수 서비스가 추가된 KARIS 시스템이 실제 시장을 얼마나 반영하고 있는지 등을 확인하고자 이번 달부터 실제 거래 가격 등을 토대로 시스템 검증과 실증 실험을 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KARIS 개시 직후 공공기관 등의 통계와 상반된 결과를 내보이며 논란의 중심에 섰던 점을 의식한 듯 부동산원 등의 지수와 부합하는지 등도 테스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공인중개사협회, KARIS 시스템 구축 설명회
(서울=연합뉴스) 이종혁 한국공인중개사협회 회장이 13일 열린 설명회에서 부동산통합지수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2024.8.13.[촬영 김희선]

공인중개사협회는 지난해 8월 협회가 보유한 5천300만건 이상의 매매·임대차 계약 자료를 토대로 국토부보다 한 달가량 빠르게 실거래 통계를 제공하겠다며 KARIS를 선보였다.

이어 첫 주택시장 통계에서 서울 아파트값이 지난해 7월에 2.4% 올랐다가, 8월에는 4.5%가 떨어졌다고 밝혔다.

국토부 산하 한국부동산원에서 7월에 1.19% 상승, 8월에 1.27% 상승했다고 발표한 것과 상반되는 결과였다.

권위 있는 민간 기관인 KB국민은행도 7월 0.56%, 8월 0.89% 각각 올랐다는 결과를 내놓으며 KARIS 통계만 엇박자를 낸 셈이 됐다.

이는 통계 산출 방식의 차이 때문이다.

부동산원은 거래 신고가 2번 있는 이상 동일주택끼리의 가격 변동률과 거래량을 활용하고 단지, 면적, 동과 같은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지수를 산출한다.

KARIS는 매월 거래된 실거래 가격을 면적당 가격으로 단순 평균하기 때문에 저가나 고가 중 어떤 아파트가 많이 팔렸나에 따라서 가격 변동이 심해진다.

예를 들어 7월에 1억짜리 아파트 4건, 10억짜리 2건이 거래됐다면 평균 거래가는 4억원이다.

8월에 1억짜리 9건, 6억짜리 1건이 거래됐다면 평균 거래가는 1억5천만원으로 7월 대비 62.5% 떨어졌다는 결과가 나온다.

이 때문에 KARIS가 집값 통계에 대한 혼란을 가중한다는 지적이 잇따르자 공인중개사협회는 통계 발표를 잠정 중단하고 새로운 지수 개발에 착수했다.

공인중개사협회 관계자는 "구체적인 시기는 미정이지만 올해 안으로 새 지수를 탑재한 KARIS 서비스를 재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ohyes@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2.09 12:13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