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고 10년, 中 AI굴기 하는동안 韓 제자리"
문재용 기자(moon.jaeyong@mk.co.kr)
입력 : 2025.03.23 16:59:36 I 수정 : 2025.03.23 19:34:21
입력 : 2025.03.23 16:59:36 I 수정 : 2025.03.23 19:34:21
美·中·印 100일간 돌아본
박현주 회장의 뼈아픈 우려

100일 이상 미국·중국·인도를 둘러보고 일시 귀국한 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이 20일 매일경제와 인터뷰를 하고 "딥시크만이 아니다. 중국은 첨단기술·제조업 전반에서 글로벌 리딩 기업을 보유하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신(新)차이나쇼크'에 충격을 받았다고 했다. 박 회장은 "중국 정부는 헝다그룹 같은 곳을 부도낼 만큼 강력한 부동산 통제정책을 썼다"면서 "중국이 10년간 부동산을 억제하고 기술굴기하는 동안 한국은 정책과 자본 모두 부동산 담론에 갇혀 있었다"고 한탄했다. 이어 "알파고와 이세돌 9단의 대국 이후로 중국은 모든 기업이 인공지능(AI)에 대한 투자를 늘린 반면 한국은 챗GPT가 등장하기 전까지 AI가 언급되는 일이 드물었고, 부동산이 국가 전체의 화두였다"고 지적했다.
박 회장은 "중국 기업인들은 미국에 뒤지지 않는 기술투자에 나서려고 한다"고 전했다. 특히 "중국 선전에는 우리나라의 판교와 같은 규모의 기술·산업단지가 7곳이 구축됐다. 항저우, 베이징 인근까지 마찬가지"라며 "한국은 AI 시대 도래에 대한 준비가 턱없이 부족했고, 국가경쟁력 약화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문재용 기자]
박현주 회장의 뼈아픈 우려

100일 이상 미국·중국·인도를 둘러보고 일시 귀국한 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이 20일 매일경제와 인터뷰를 하고 "딥시크만이 아니다. 중국은 첨단기술·제조업 전반에서 글로벌 리딩 기업을 보유하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신(新)차이나쇼크'에 충격을 받았다고 했다. 박 회장은 "중국 정부는 헝다그룹 같은 곳을 부도낼 만큼 강력한 부동산 통제정책을 썼다"면서 "중국이 10년간 부동산을 억제하고 기술굴기하는 동안 한국은 정책과 자본 모두 부동산 담론에 갇혀 있었다"고 한탄했다. 이어 "알파고와 이세돌 9단의 대국 이후로 중국은 모든 기업이 인공지능(AI)에 대한 투자를 늘린 반면 한국은 챗GPT가 등장하기 전까지 AI가 언급되는 일이 드물었고, 부동산이 국가 전체의 화두였다"고 지적했다.
박 회장은 "중국 기업인들은 미국에 뒤지지 않는 기술투자에 나서려고 한다"고 전했다. 특히 "중국 선전에는 우리나라의 판교와 같은 규모의 기술·산업단지가 7곳이 구축됐다. 항저우, 베이징 인근까지 마찬가지"라며 "한국은 AI 시대 도래에 대한 준비가 턱없이 부족했고, 국가경쟁력 약화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문재용 기자]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한화솔루션, 부동산 담을 리츠 설립 검토
-
2
영업이익 56% 줄어든 삼성, 2분기 바닥 찍었나…하반기 반등 가능성 무게
-
3
3만여 명 전세사기 피해자 배드뱅크로 일괄구제 추진
-
4
1년간 성실히 빚 갚으면 '개인회생 낙인' 지워준다
-
5
李대통령 당부에…금융위, 소상공인 '금융애로' 첫 현장 청취
-
6
최저임금격차 720원까지 좁혀…노 8.7%↑vs 사 1.5%↑(종합)
-
7
아세안 외교장관들, 트럼프 상호관세 통보에 "우려" 표명할 듯
-
8
한화오션, 미 해군 함정 정비사업 3번째 수주했다
-
9
폭염에 전남서 하루 만에 가축 2만마리 폐사
-
10
유럽 '끝 안보이는' 여름…아크로폴리스 폐쇄, 폴란드선 강 말라(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