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관세면제 위한 ‘7월 패키지’ 추진…“서두르지 않을 것”
최승진 특파원(sjchoi@mk.co.kr)
입력 : 2025.04.25 07:55:26 I 수정 : 2025.04.25 08:05:43
입력 : 2025.04.25 07:55:26 I 수정 : 2025.04.25 08:05:43
트럼프 행정부와 첫 협상서
상호관세 유예종료 전까지
‘패키지 협상’ 기본틀 합의
최상목 “협상 목표치 의미”
상호관세 유예종료 전까지
‘패키지 협상’ 기본틀 합의
최상목 “협상 목표치 의미”

한국 정부는 관세 협상에 있어 당장 급하게 합의를 하기보다는 “서두르지 않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의 주미 한국대사관에서 열린 ‘한미 2+2 통상협의’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협의 과제를 좁히고 논의 일정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최 부총리와 안 장관은 이날 오전 미국 재무부 청사에서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USTR)와 ‘한미 2+2 통상협의’를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한미 양측은 관세협상과 관련한 기본적인 틀을 마련하는 데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전해졌다.
우선 ‘7월 패키지’는 디지털 등 비관세 문제와 여러 현안을 종합해 상호관세 유예가 종료되는 7월 8일까지 일괄적으로 협상까지 진행하는 개념으로 풀이된다.
기자간담회에서 최 부총리는 ‘7월 패키지’와 관련해 “90일간 상호관세 유예가 된 기한이 7월 8일이다. 그때까지 협의할 협상의 목표치라고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안 장관은 “7월 8일까지 줄라이 패키지 도출을 목표로 향후 실무 협의의 방식과 범위에 대해 다음주 중 실무 협의를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정부는 협상의 ‘범위’를 좁히는 데에도 미국 측과 합의점을 찾았다. 최 부총리는 “△관세·비관세 장벽 △경제안보 △투자협력 △통화(환율)정책 등 4개 분야를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는 데에 미국 측과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환율정책과 관련해 최 부총리는 “구체적으로 논의된 것은 아니다”라며 “환율정책 관련해서는 별도의 실무협의를 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구체적 내용은 결과물이 나오면 설명을 드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 부총리는 또 “서두르지 않으면서, 차분하고 질서 있는 협의를 위한 양국 간 인식을 공유할 수 있었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우리측은 한국의 정치 일정과 통상 관련 법령, 국회와의 협력 필요성 등 앞으로 협의에 있어 다양한 고려사항이 있음을 설명하고, 이에 대한 미측의 이해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본격적인 한미간 관세협상 타결은 6·3 대선 이후 출범할 한국의 새 정부의 몫으로 남을 가능성이 점쳐진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외국계 순매수,도 상위종목(코스피) 금액기준
-
2
카카오, ‘4130억 규모’ SKT 지분 전량 매각에 3%대 하락
-
3
HD한국조선해양, 자회사 에이치디현대삼호(주), 5,596억원 규모 공급계약(컨테이너선 2척) 체결
-
4
외국계 순매수,도 상위종목(코스닥) 금액기준
-
5
유비벨록스(089850) 상승폭 확대 +10.06%
-
6
인기검색 20종목
-
7
코오롱ENP(138490) 소폭 상승세 +3.05%
-
8
비트컴퓨터, 임원ㆍ주요주주 특정증권등 소유주식수 변동
-
9
롯데케미칼(011170) 소폭 상승세 +3.02%
-
10
TS인베스트먼트(246690) 소폭 상승세 +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