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테마시황

입력 : 2025.04.25 08:37:01
제목 : 미국 테마시황
4/24(현지시간) 뉴욕증시가 관세 협상 진전 기대감, Fed 금리 인하 기대감, 기술주 강세 등에 급등한 가운데, 주요 테마들도 대부분 상승. 특히, 전일 장 마감 후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발표한 텍사스 인스트루먼트(+6.56%), 램리서치(+6.25%)가 큰 폭으로 상승한 가운데 엔비디아(+3.62%) 등 반도체 테마가 강세를 나타냈으며, 애플(+1.84%) 등 모바일, 마이크로소프트(+3.45%) 등 컴퓨터, 아마존(+3.29%), 알파벳A(+2.53%), 메타(+2.48%) 등 인터넷, 테슬라(+3.50%) 등전기차 등 M7 관련 테마들이 일제히 상승. 넷플릭스(+4.50%)가 실적 가이던스 개선 모멘텀 지속 등에 연일 상승하는 등 미디어 테마도 상승했고, 금 가격 반등 속 뉴 몬트(+4.80%) 등 금(金) 테마가 상승. 국제유가 강세 속 엑슨 모빌(+1.17%) 등 정유, 다우(+2.62%) 등 화학 테마도 상승.

이 외 서비스나우(+15.49%)가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발표하며 급등하는 등 S/W 및 IT 서비스 테마가 상승했고, 페이팔(+3.70%) 등 전자결제, 쿠팡(+297%) 등 전자상거래, 코인베이스(+4.66%) 등 가상화폐, 로블록스(+3.48%) 등 게임, 화이자(+1.74%) 등 제약/바이오, AT&T(+1.25%) 등 통신, 뱅크오브아메리카(+2.14%) 등 은행, 마스터카드(+1.03%) 등 카드, 메트라이프(+2.18%) 등 보험, 타깃(+3.43%) 등 유통, 페덱스(+2.20%) 등 물류, 사우스웨스트 항공(+3.68%) 등 항공, 에어비앤비(+2.90%) 등 여행, 라스베가스 샌즈(+6.49%) 등 카지노, 포드(+2.86%) 등 자동차, 캐터필러(+3.75%) 등 산업재, 발레(+2.09%) 등 광산, 아이온큐(+5.93%) 등 양자, 오클로(+4.07%) 등 원자력 등의 테마가 상승.


관련 테마분석
인터넷 대표주
국내 인터넷 서비스 산업을 주도하고 있는 인터넷산업 대표기업군. 이들 소수 업체들이 상위 사업자군을 형성하며, 시장 지배력을 더욱 키워나가고 있는 상황임. 이중 구글에 이어 네이버가 국내 포털 시장 점유율 상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카카오는 국내 모바일 메신저 시장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음. 광 고주들의 특성상 많은 트래픽이 모이는 상위 포털 업체에 광고가 집중되는 특성이 있음.
- 히스토리

☞2025-04-10 트럼프 대통령, 중국 제외 국가별 상호관세 90일간 전격 유예 소식 등에 상승(주도주 : 카카오, NAVER)
☞2025-03-11 美 대형 기술주 급락 등에 하락
☞ 관련종목 리스트 바로보기

2차전지
2차전지(Secondary battery)란 한 번 쓰고 버리는 배터리가 아닌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rechargeable battery)를 의미함. 즉, 충전과 방전을 반복할 수 있는 전지이며,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전해질 4대 핵심 소재로 구성. 2차전지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 모바일/휴대용 IT기기와 전기차/하이브리드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음.
- 히스토리

☞2025-04-23 테슬라 1분기 실적 부진 속 일론 머스크 CEO 경영 집중 발언 및 저가차·로보택시 기대감 부각 등에 상승(주도주 : 엘앤에프, 대주전자재료, 엔켐, 성일하이텍)
☞2025-04-11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테슬라(-7.27%) 주가 약세 영향 등에 일부 관련주 하락
☞2025-04-10 트럼프 대통령, 중국 제외 국가별 상호관세 90일간 전격 유예 소식 등에 상승(주도주 : 엔켐, 켐트로스, 덕산테코피아, 아이티엠반도체)
☞ 관련종목 리스트 바로보기

영상콘텐츠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의 영상 콘텐츠 제작 및 배급(유통)업체들. 넷플릭스, 디즈니+, 티빙, 왓챠 등 국내외 OTT 업체들의 성장으로 다양한 유통채널을 통한 수익모델이 활성화되고 있음. 특히, 해외시장에서 국내 문화 콘텐츠에 대한 호응도가 높아지고, 정부의 지적재산권 보호 강화로 대표적인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성장하고 있음.
- 히스토리

☞2025-04-24 문체부 '2025~2030 애니메이션 산업 진흥 기본계획' 발표 등에 상승(주도주 : 캔버스엔, SBS, CJ ENM, 바른손이앤에이)
☞2025-04-18 넷플릭스, 1분기 호실적 발표 등에 상승(주도주 : 포바이포, 캔버스엔, 에프엔씨엔터, 캐리소프트, KX)
☞2025-04-11 더불어민주당, 드라마·영화·웹툰·게임 지원정책 추진 소식 등에 상승(주도주 : 와이랩, 스튜디오미르, M83, 에이스토리)
☞ 관련종목 리스트 바로보기

반도체 대표주(생산)
메모리, 플래시메모리, 비메모리, 주문형반도체를 제조하고 있는 국내 메이저 반도체생산업체들. IT경기와 밀접한 상관성을 보이고 있으며 이들 업체들의 설비투자와 분기실적이 반도체장비/소재업체들의 주가에 큰 영향을 주고 있음.
- 히스토리

☞2025-04-23 美/中 무역갈등 완화 기대감 속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2.14%) 급등 영향 등에 상승(주도주 : SK하이닉스, DB하이텍, 삼성전자)
☞2025-04-22 엔비디아 주가 100달러선 붕괴 속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2.10%) 급락 영향 등에 하락
☞2025-04-21 4월 반도체 수출 호조, 올해 메모리 수급 개선 전망, 반도체 관세 완화 기대감 등에 상승(주도주 : SK하이닉스)
☞ 관련종목 리스트 바로보기

IT 대표주
반도체, 디스플레이(OLED 등), 가전 등 국내 대표 IT 기업군.
- 히스토리

☞2025-04-10 트럼프 대통령, 중국 제외 국가별 상호관세 90일간 전격 유예 소식 등에 상승(주도주 : LG디스플레이, SK하이닉스, 삼성전자, LG전자)
☞2025-04-03 美 상호관세 발표 속 글로벌 무역전쟁 우려 확산 등에 하락
☞2025-03-11 美 대형 기술주 급락 등에 하락
☞ 관련종목 리스트 바로보기

전기차
전기자동차는 화석연료와 엔진을 사용하지 않고, 전기 배터리와 전기 모터를 사용하는 자동차로 저렴한 유지비와 무공해, 무소음 등의 장점을 갖고 있어 향후 기존 자동차를 대체할 미래형 친환경차로 손꼽히고 있음. 친환경을 추구하는 세계적 추세와 더불어 관련 기술개발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테슬라를 퍼스트무버로 관련업체들의 중장기적인 수혜가 예상됨.
- 히스토리

☞2025-04-23 테슬라 1분기 실적 부진 속 일론 머스크 CEO 경영 집중 발언 및 저가차·로보택시 기대감 부각 등에 상승(주도주 : 엘앤에프, 모티브링크, 엔켐, 코스모신소재)
☞2025-04-15 트럼프, 자동차 부품 관세 유예 시사 발언 등에 상승(주도주 : SNT모티브, 화신, HL만도, 네오오토, 이지트로닉스)
☞2025-04-11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테슬라(-7.27%) 주가 약세 영향 등에 일부 관련주 하락
☞ 관련종목 리스트 바로보기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7.12 20:21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