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항공엔진 국산화, 14년간 4.4조원 필요"

금속·재료학회 춘계학회…"엔진 개발 3.3조·소재 1.1조 추산"
최현석

입력 : 2025.04.25 09:00:02


첨단 항공엔진 소재부품 개발 심포지엄
[촬영 최현석]

(제주=연합뉴스) 최현석 기자 = 첨단 항공엔진 국산화를 위해 올해부터 14년간 4조4천억원 투자가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 관계자는 대한금속·재료학회가 24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개최한 춘계학술대회에서 '첨단 항공엔진 소재부품 개발 심포지엄'에서 이러한 분석 결과를 내놨다.

심포지엄 좌장과 강연자로 참여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측은 KF21 엔진 국산화를 위한 사업 타당성 조사와 예비 타당성 조사 관련 계획을 수립한 결과, 엔진 개발 과제에 올해부터 14년간 3조3천억원이 필요하고 소재 개발에 10년간 1조1천억원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도출됐다고 설명했다.

엔진 개발 예산은 방위사업청, 소재개발 예산은 산업통상자원부 등과 협력이 필요한 부분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측은 해외에 항공기를 수출하고 싶어도 엔진 개발 국가인 미국의 승인을 일일이 받아야 해 수출에 제약이 심하다며 문재인 정부 당시 이를 인지하고 국산화 논의가 시작됐다고 전했다.



첨단 항공엔진 소재부품 개발 심포지엄
[촬영 최현석]

방위사업청 측도 이날 '첨단 항공엔진 개발 기본계획'이란 주제의 초청강연에서 항공엔진 개발 관련 개념연구 수행 결과 국내 업체 주도로 개발할 경우 13~14년의 개발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했다.

방위사업청 관계자는 "기대효과로 최대 1천~2천개까지 소요가 예상된다"며 "내수만으로도 충분히 (엔진) 개발에 들어가는 3조3천억원을 회수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산업부나 우주항공청이 올해 하반기에 예비 타당성 조사에 들어갈 예정이어서 역산해보면 2027년 정도부터는 예산 투입이 시작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정부 주관 인증 제도를 구축해 체계 기업과 운영자의 책임을 경감할 수 있는 제도가 제대로 구축돼야 한다"며 "기체와 엔진, 소재 개발 사업의 기획 단계부터 유기적인 협력이 돼야 하고 한국 엔진, 소재 산업이 유망하다고 느낄 수 있도록 꾸준한 지원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한국재료연구원 측은 재료정책 세션에 참가해 작년 말에 5년간 사업을 끝낸 소재혁신선도본부가 6년 더 운영된다며 소재의 대외 의존도 해소와 소재 국산화를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오후 개최된 금속·재료학회 총회에서는 춘계 학회상 시상식이 진행됐다.

수상자는 ▲ 포스코학술상 한흥남(서울대) ▲ 현송공학상 정우상(한국과학기술연구원) ▲ LS학술상 이선영(한양대) ▲ 포스코김철우상 강신곤(동아대) 등이다.


[촬영 최현석]

harrison@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7.12 20:32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