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매도 재개 한달…日거래대금 1조7천억→6천억원 "안정화 수순"
美 관세 충격과 겹쳤지만 선방…"단기 공매도 오버슈팅 진정 중"공매도 과열 종목도 감소 추세…외인 복귀는 남은 과제
조민정
입력 : 2025.05.04 08:00:04
입력 : 2025.05.04 08:00:04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조민정 기자 = 국내 증시에서 공매도가 전면 재개된 지 한 달이 지났지만, 기대했던 외국인 복귀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재개 초기 공매도 거래대금이 크게 늘고 공매도 과열 종목 지정이 쏟아지기는 했지만, 다행히 증시 하방 압력은 당초 우려만큼 강하지 않았다.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공매도가 재개된 지난 3월 31일부터 이달 2일까지 한 달여간 코스피·코스닥 공매도 거래대금은 총 20조3천649억원으로 집계됐다.
일평균 공매도 거래대금은 8천485억원 수준으로, 공매도를 전면 금지한 2023년 11월 6일 직전 한 달간(10월 4일∼11월 3일) 일평균 7천884억원 대비 약 8%가량 증가했다.
공매도 재개 첫날 1조7천289억원이었던 공매도 거래대금은 지난 2일엔 6천272억원 수준으로 줄었다.
4월 초만 해도 1조원대를 쉽게 넘나들던 것이 월말 들어서는 6천억~7천억원대 수준으로 하향 안정됐다.
노동길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5년 만에 전 종목을 대상으로 공매도가 재개되면서 시장이 가장 우려했던 것은 변동성 확대로, 재개 당일 공매도 비중이 코스피 15.7%, 코스닥 8.5%까지 증가하기도 했다"며 "다만 단기 공매도 오버슈팅은 진정 중으로 본다"고 말했다.
국내 증시는 공매도 재개와 미국발 관세 정책 충격 속에서도 선방 중이다.
코스피 지수는 공매도 재개 직전일(3월 28일) 2,557.98에서 지난 2일 2,559.79로 소폭 상승했다.
코스닥 지수는 693.76에서 721.86으로 4%가량 올랐다.
공매도 재개 이후 24거래일간 공매도 과열 종목으로 지정된 종목은 360개에 달하지만, 이 역시 감소하는 추세다.
첫날인 3월 31일에만 43개 종목이 공매도 과열 종목으로 지정됐는데, 한 달 뒤인 4월 30일에 적출된 공매도 과열 종목은 17개에 그쳤다.

[강민지 제작] 일러스트
이번 달부터는 공매도 과열 종목 지정 기준이 완화돼 지정 종목 수는 더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한편 공매도 잔고 비율 상위 종목은 지난달 29일 기준 에코프로비엠[247540](3.75%), 에코프로[086520](3.61%), 젬백스[082270](3.25%), 엔켐[348370](3.19%), 하나마이크론[067310](3.16%), 포스코퓨처엠[003670](2.98%), SKC[011790](2.77%) 등으로 이차전지·반도체주에 집중돼 있다.
공매도 거래가 여전히 외국인 중심으로 이뤄지는 가운데 외국인 수급 개선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은 남은 과제다.
지난 한 달여간 외국인의 공매도 거래대금 비중은 85.12%로 기관(13.66%)과 개인(1.22%)을 압도했다.
시장은 공매도 재개와 함께 유출됐던 외국인 자금이 국내 증시로 유턴할 것으로 기대했으나, 외국인은 지난달 코스피 주식을 9조원 넘게 팔아치우며 코로나19 사태 당시인 2020년 3월 이후 5년여만에 최대 순매도 규모를 기록했다.
김수연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주변 국가들 대비 국내 경기가 부진한 것은 맞지만 매도 강도가 특히 셌던 것은 공매도 재개의 영향일 것"이라며 "공매도 재개의 영향은 한 달 정도면 반영됐을 것이고 관세 영향도 시장에 흡수된 것으로 보인다.
외국인은 5월에 주식을 대규모로 팔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chomj@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