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장★테마동향
입력 : 2023.03.23 14:43:39
제목 : 오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 | 주 요 테 마 |
강세 테마 | 2차전지(전고체), 리튬, 2차전지, 온실가스(탄소배출권), AI 챗봇(챗GPT 등), 캐릭터상품, 화학섬유, 리비안(RIVIAN), 석유화학, 비철금속,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항공/저가 항공사(LCC), 희귀금속(희토류 등),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갤럭시 부품주, 폴더블폰 등... |
약세 테마 | 면역항암제, 코로나19(치료제/백신 개발 등), 폐기물처리, 보톡스(보툴리눔톡신), 피팅(관이음쇠)/밸브, 농업, 미디어(방송/신문), 줄기세포, 백신여권, 미용기기, 애플페이, 국내 상장 중국기업, 마이크로바이옴, 생명보험 등... |
특징 테마 | 이 슈 요 약 |
중국 소비주 | 한국광관공사, 中 여행업계 대표 관계자 100여명 초청 소식 등에 상승 |
▷언론에 따르면, 한국관광공사가 이달 19일부터 26일까지 중국 국영기업을 포함한 각 지역의 여행업계 대표 관계자 100여명으로 꾸려진 '중국 여행업 대표 방한 시찰단'을 한국으로 초청해 팸투어를 진행중이란 소식이 전해짐. 정부 주도의 대규모의 방한 행사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3년 만에 처음임. 중국 여행업계 관계자들은 서울의 주요 관광지를 비롯해 부산과 제주 등 주요 한국 도시를 방문해 다양한 한국관광상품을 살펴보는 가운데, 특히 이번 방한 일정은 신흥 관광지와 신규 럭셔리 호텔들로 구성된 것으로 알려짐. ▷한편,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기관 3곳 이상에서 실적 추정치를 제시한 유가증권 및 코스닥 상장사 199개 중 1분기 영업이익 추정치가 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한 기업은 8개사로 나타난 것으로 알려짐. 이들 업종은 조선, 항공, 카지노로 올해 1분기 개선된 모습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와 관련, 카지노섹터 중 파라다이스와 GKL이 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지난해 1분기 흑자를 기록한 강원랜드는 실적이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아울러 항공섹터 중 제주항공과 티웨이항공 등도 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에 롯데관광개발, 제주항공, GKL, 글로벌텍스프리 등 여행/항공/저가항공사(LCC)/카지노/면세점 테마가 상승. | |
폐배터리 | 2045년 폐배터리서 수산화리튬 2만톤 확보 가능 분석 등에 상승 |
▷대한상공회의소는 김유정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에게 분석을 의뢰해 조사한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산업의 원료조달 효과성 분석’ 보고서를 통해 오는 2045년에는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을 통해 배터리 핵심원료인 수산화리튬을 2만톤(t)가량 조달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음. ▷구체적으로 2045년에 수산화리튬 2만t을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으로 회수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으며, 이 외에도 황산망간 2만1,000t, 황산코발트 2만2,000t, 황산니켈 9만8,000t 가량을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으로 회수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전기차 시장이 급성장할수록 폐배터리 재활용을 통한 핵심원료 회수량 역시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것"이라며, "국내 폐배터리 수거·확보 체계를 정비하는 한편,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의 고도화를 위해 정부와 민간이 적극 협업해야 한다"고 밝힘. 이어 "주요국들이 역내 재활용 생산을 정책화하고 있는 만큼 폐배터리 자체가 전략물자화 될 가능성이 크다"며, "한국은 폐배터리를 ‘제2의 원석’, ‘도시광산’으로 인식하고 공급선 확보에 적극 임해야 한다"고 덧붙였음. ▷이에 금일 디에이테크놀로지, 하나기술, 에코프로, 웰크론한텍, 영화테크 등 폐배터리 테마가 상승. 아울러 디에이테크놀로지는 투자주의 환기종목 지정 사유 해소 등도 긍정적으로 작용. |
[인포스탁 테마분류를 통해서 상세한 기업개요 및 테마개요/관련종목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5.26 09:47
제주항공 | 6,695 | 15 | -0.22%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