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컨 쐬러 가는 장소로 변했다…방문객 급감한 은행 점포, 얼마나 줄었길래
박인혜 기자(inhyeplove@mk.co.kr)
입력 : 2025.05.19 05:50:18
입력 : 2025.05.19 05:50:18
내점 800만명 선 무너져
관련통계 집계 이래 최저
디지털화·비대면 업무 늘며
은행 찾는 사람 계속 감소
은행 업무 대리업 제도 주목
관련통계 집계 이래 최저
디지털화·비대면 업무 늘며
은행 찾는 사람 계속 감소
은행 업무 대리업 제도 주목

시중은행 영업점의 월평균 방문객 숫자가 800만명 이하로 떨어졌다. 대부분 금융 거래가 온라인 또는 모바일로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이처럼 은행 오프라인 점포 효용성은 떨어지지만, 고령자 등 금융 소외계층의 불편을 가중하면 안 된다는 금융당국의 방침이 확고해 은행 경영 측면에서 고심이 커지고 있다.
18일 5대 시중은행에 따르면 2023년 월평균 841만6509명이었던 오프라인 점포 내방객 숫자는 2024년 807만1544명으로 줄었다. 2025년 4월까지 집계한 월평균 방문객은 791만5115명으로 800만명 선이 무너졌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5대 시중은행이 모두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22년 10월 이후 최저치다.

시류에 맞춰 은행들도 오프라인 점포를 줄여왔다. 2023년 말 5대 시중은행 점포 수는 3926개였는데, 2024년 4월 말 3753개로 4.4%가 사라졌다. 하지만 같은 기간 영업점 방문객 수 감소율은 6%로 더 높았다.
그럼에도 금융당국 방침에 따라 은행들은 점포 추가 폐쇄를 주저하고 있다. 올해 5대 시중은행에서 점포 통폐합 계획은 한 곳뿐이다.
은행들은 은행 업무 대리업 제도 도입에 주목하고 있다. 이는 우체국이나 공공기관, 편의점 등에서 은행 업무가 가능하도록 하는 제도다. 7월부터 전국 우체국에서 예·적금과 대출 상담 등 업무를 볼 수 있다. 은행 간 통합점포 운영에 대한 검토도 시작했다.
은행 업무는 디지털화가 진전되면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예·적금 등 대부분 상품에 가입이 가능해졌고, 대출 업무 역시 관련 서류를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되면서 상당 부분 비대면화됐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빅데이터 분석’ 뉴엔AI, 공모가 희망범위 상단 1만5000원
-
2
코스닥 노리는 싸이닉솔루션 “센서 파운드리로 수익성 강화”
-
3
올해 증시 상승률 26% ‘톱’...코스피, 3년6개월만에 3000 되찾았다
-
4
“주4일제 하다가 포기했어요”...재계가 근로시간 단축 실험 그만둔 속사정은
-
5
GRESB, KGBC 포럼에서 실물자산 지속가능성 관리 방향 제시
-
6
“되기만 하면 500조원 시장서 달린다”...다음주가 관건이라는 원전 해체株
-
7
[표] 주간 코스닥 기관 순매수도 상위종목
-
8
“사장님, 그만 자리서 내려오시죠”...2년 연속 낙제점 맞은 공공기관장은 누구?
-
9
[표] 주간 거래소 기관 순매수도 상위종목
-
10
[표] 주간 거래소 외국인 순매수도 상위종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