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레이딩 호조에 증권사 해외법인 순익 4천억…전년비 156% 폭증

금융당국 "미 상호관세 부과 등 잠재리스크 상시 모니터링"
이율

입력 : 2025.05.19 06:00:05
(서울=연합뉴스) 이율 기자 = 작년 증권사 해외 현지법인 순이익이 트레이딩 부문 이익 증가로 156% 폭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금융감독원은 작년 15개 증권사가 설치한 해외현지법인 70곳(시장조사 목적의 10개 사무소 제외)의 순이익은 2억7천220만 달러(4천2억원)로 전년(1억650만 달러·1천566억원) 대비 155.5%(1억6천570만달러·2천436억원) 폭증했다고 19일 밝혔다.


[금감원 제공]

이는 해외현지법인을 두고 있는 15개 증권사 당기순이익의 7.3%에 달한다.

작년에 채권중개와 상장지수펀드(ETF) 관련 업무 등 트레이딩 업무 이익이 증가한 영향이다.

70개 현지법인 중 54.3%인 38개사는 이익을, 45.7%인 32개사는 손실을 냈다.

진출 국가별로는 미국·홍콩·베트남 등 10개국에서는 이익이 났지만, 영국·태국 등 5개국에서는 손실이 났다.

작년 말 기준 증권사 현지법인 자산총계는 342억8천만달러(50조4천억원)로 전년 말보다 9.7%(37억달러·5조4천억원) 감소했다.

이는 이들 해외 현지법인을 두고 있는 증권사 15곳 자산총계의 8.9% 수준이다.

현지법인 자기자본은 전년 대비 5.6% 늘어난 81억4천만달러(12조원)으로, 해당 증권사 자기자본의 18.5% 수준이었다.




[금감원 제공]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15개 증권사가 15개국에 진출해 현지법인 70곳, 사무소 10곳 등 80개 해외점포를 운영 중이다.

국가별로는 중국·인도네시아·베트남 등 아시아지역이 58개(72.5%)로 가장 많았고, 미국 14개(17.5%), 영국 6개, 그리스 1개, 브라질 1개 등 순이었다.

최근 5년간 중국·홍콩 비중이 감소하는 가운데, 지난해 인도 진출 확대에 따라 아시아 내 점포 분포가 다변화하는 추세다.

지난해에는 인도 5개, 미국 2개, 영국 1개, 싱가포르 1개, 인도네시아 1개 등 10개 현지법인이 신설되고, 인도네시아에서 3개 현지법인이 폐쇄돼 7개 해외점포가 순증했다.


[금감원 제공]

금감원은 "지난해 증권사 해외현지법인의 당기순이익이 미국 등 주요국 현지법인의 트레이딩 업무 이익 증가 등에 힘입어 크게 증가했다"면서 "미국·홍콩·베트남 현지법인의 당기순이익이 전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등 이익을 내는 게 일부 국가에 편중돼 있지만, 최근 인도 등 신흥국시장 진출을 추진하고 유럽 등에도 점포를 신설하는 등 진출지역 다변화를 도모중"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증권사의 해외진출을 적극 지원하는 한편, 최근 미국 상호관세 부과 등 대외변동성 확대로 영업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잠재 리스크를 상시 모니터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yulsid@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5.19 10:57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