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냉장고·세탁기도 50% 철강관세 부과…韓 가전업계도 타격(종합)
건조기·식기세척기·냉동고·레인지 등도 철강 함유량만큼 부과美, 관세 대상 철강파생제품 확대 추세…美업계는 추가지정 요청
김동현
입력 : 2025.06.13 07:44:56
입력 : 2025.06.13 07:44:56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재판매 및 DB 금지]
(워싱턴=연합뉴스) 김동현 특파원 = 철강 제품뿐 아니라 철강으로 만든 파생제품에도 관세를 부과한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냉장고와 세탁기 등 가전제품에 사용된 철강에도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미국 상무부는 12일(현지시간) 연방 관보를 통해 50% 철강 관세 부과 대상이 되는 철강 파생제품 명단에 제품을 추가했다.
추가된 제품에는 냉장고, 건조기, 세탁기, 식기세척기, 냉동고, 조리용 스토브, 레인지, 오븐,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등이 포함됐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3월 철강에 25% 관세를 부과하면서 철강으로 만든 파생제품에도 철강 함량 가치를 기준으로 25% 관세를 부과했다.
특정 제품에 사용된 철강의 가치를 따져 거기에 25% 관세를 부과한다는 의미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일부로 철강과 파생제품에 대한 관세를 50%로 올렸다.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한국 가전기업들이 미국에서 세탁기 등 일부 제품을 생산하기는 하지만 한국과 멕시코 등 다른 나라에서 만들어 미국에 수출하는 물량이 상당해 이번 관세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에 추가된 제품에 대한 관세는 오는 23일부터 적용된다.
트럼프 행정부가 파생제품의 범위를 광범위하게 설정해 갈수록 많은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면서 철강 관세의 여파가 당초 예상보다 커지는 형국이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3월 초 철강 관세가 부과되는 파생제품을 처음 발표했을 당시에는 그 제품 수가 철강과 알루미늄을 합쳐 172개였으나 상무부는 이후 명단을 계속 업데이트하고 있다.
상무부는 지난달 철강·알루미늄 파생제품에 추가할 제품에 대해 각계 요청을 접수하는 절차를 마련했으며, 이후 미국 철강 기업들은 가전제품을 비롯한 다양한 제품에도 관세 부과를 요청했다.
미국 기업들이 철강 파생제품으로 지정해달라고 요청한 제품에는 보일러와 에어컨, 산업용 로봇, 농기구, 선박, 가구, 아령 등 철강을 사용하는 온갖 제품이 포함됐는데 상무부가 향후 이런 제품에도 관세를 부과할지는 불확실하다.
bluekey@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삼성전자 롱, 하이닉스 숏 잡은 외국인·기관…공매도 거래는 두 종목 모두 폭증해
-
2
어음 부도율 10년만에 최고치…자금줄이 말라간다
-
3
세종시청 로비서 21일부터 '페루 문화·관광 사진 전시회'
-
4
23일 테슬라·알파벳 실적 발표···M7 중 첫 주자
-
5
[연합뉴스 이 시각 헤드라인] - 15:00
-
6
강원도, 병영 식당 대상 컨설팅 실시…군 급식 위생 '이상 무'
-
7
한수원, 신월성원전 2호기 발전 중지…계획예방정비 착수
-
8
결국 증권거래세 인상되나…금투세 도입 무산에 칼빼든 정부
-
9
[프로필]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경험·실무 풍부한 '위기 해결사'
-
10
김영록 전남지사 "호우 피해 조속히 복구, 실질적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