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재수 "해수부 부산이전 늦출 수 없어…기능 강화"(종합2보)
"조선·해양플랜트·항만 배후인프라 개발·섬 사무도 맡도록 논의""HMM 매각이 유일한 선 아니다"
전재훈
입력 : 2025.06.25 17:51:43
입력 : 2025.06.25 17:51:43

(서울=연합뉴스) 이진욱 기자 =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가 25일 인사 청문 준비 사무실이 있는 서울 마포구 포스트타워 마포로 출근하며 지명 소감을 밝히고 있다.2025.6.25 cityboy@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윤구 전재훈 기자 =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는 25일 "해수부 부산 이전은 더는 늦출 수 없다"고 말했다.
전 후보자는 이날 서울 마포에 있는 인사 청문 준비 사무실에 처음으로 출근해 우리나라의 일극 체제를 극복하고 북극항로를 선점하기 위해 해수부를 신속하게 부산으로 이전해야 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은 전날 해수부의 부산 이전을 올해 12월 안에 이행할 수 있도록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전 후보자는 이와 관련 "대통령께서 두 차례 국무회의에서 해수부의 부산 이전을 말씀하셨기 때문에 그 일정에 맞춰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 대통령이 해수부의 신속한 부산 이전을 주문한 데 대해 "북극항로를 선점하려면 속도를 내야 하지 않겠느냐는 대통령의 강력한 의지를 반영한 말 아닌가 생각한다"고 부연했다.
전 후보자는 '해수부를 일부만 이전할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일부를 남기고 일부만 간다는 건 아니다"라면서 "그 부분은 입장을 정리해서 다시 말씀드릴 수 있게 하겠다"고 답했다.
그는 이전 지역을 구체적으로 검토했는지와 관련 "부산을 내 손바닥 보듯이 다 보고 있다.
최적의 후보지가 어딘지 좀 더 고민해보겠다"고 했다.
이어 "해수부 구성원의 다양한 목소리를 놓치지 않고 열심히 소통하겠다.
인천이나 충청, 전남에서 여러 다른 의견이 있는데 의견을 듣고 반영할 수 있는 것은 반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 후보자는 또 해수부의 몸집을 키워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그는 "단순히 지금 모습 그대로 해수부가 부산으로 옮겨가기보다 해수부의 기능, 역할과 위상을 강화해야 한다"면서 산업통상자원부의 조선·해양플랜트, 국토교통부의 항만 배후 인프라 개발, 행정안전부의 섬 관련 사무를 해수부가 맡도록 부처 간 협의할 필요가 있다고 구상을 밝혔다.
그러면서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산업부에서 조선·해양플랜트 사무를 해수부로 가져오는 건 정부 조직을 개편하는 법률 개정 사항이 아니다"며 "조선과 해운은 한 몸인데 지금 조선 산업은 산업부에 있고 해운은 해수부에 있다.
북극항로 개척을 선도하려면 해양과 산업 정책이 한 몸이 돼야 한다.
이 부분은 내가 풀어나갈 과제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 모습 그대로 부산으로 옮겨가기보다는 해수부의 기능과 역할, 위상을 강화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갖고 있다"며 "해수부가 추후 북극항로 개척을 선도하는 대한민국의 컨트롤타워로 기능할 수 있도록 기능이 대폭 확대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북극항로는 북극해 해빙이 녹으면서 드러난 바닷길로, 기존 항로 대비 물류비용이 적게 들어 글로벌 항만을 둔 국가가 앞다퉈 개척에 나섰다.
전 후보자는 HMM[011200] 본사의 부산 이전에 대해서는 "HMM 구성원의 의견을 다양하게 들어야 한다"면서도 "(부산을) 북극항로 시대 전략 기지 거점으로 만들어 집적화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행정 기능을 총괄하는 해수부, 사법 기능 총괄하는 해사전문법원, 경쟁력 있는 해운선사, 여기에 투자할 수 있는 금융기관이 집적화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HMM 매각 문제는 해수부가 전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채권단과 잘 협의하겠다"면서도 "(HMM) 매각만이 유일한 선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기업이 낸 성과를 국민과 공유하는 싱가포르의 테마섹(Temasek·싱가포르 국부펀드)이 있지 않나.
매각만이 유일한 길은 아니라는 생각은 평상시에 하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전 후보자는 해수부 장관의 부총리 격상 필요성에 대해선 "부총리 직제를 신설하는 건 정부 직제를 개편하고 국회를 통과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며 "일단 범정부 차원에서 북극항로 정책을 선도할 수 있는 컨트롤타워는 있어야 한다.
(컨트롤타워를) 대통령 직속 기구로 할지 총리 직속으로 할지는 논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해양·수산 분야에 대한 전문성이 부족한 것 아니냐'는 지적에 "전적으로 맞는 말이다.
더 열심히 공부하고 많은 분과 만나 조언 듣겠다"면서도 "나는 고향이 부산이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경험은 없지만 부산 지역 국회의원이다 보니 관심 가질 수밖에 없던 것이 해양수산 분야"라고 말했다.
ykim@yna.co.kr, kez@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니케이지수(일본) : ▲608.75엔(+1.54%), 40,193.33엔 [오후장출발]
-
2
상해종합지수(중국) : ▼7.15P(-0.21%), 3,441.30P [전장마감]
-
3
KT(030200) 소폭 상승세 +4.01%, 52주 신고가
-
4
엣지파운드리(105550) 소폭 상승세 +3.03%
-
5
에이치케이(044780) 상승폭 확대 +11.05%
-
6
이스트에이드(239340) 상승폭 확대 +9.91%, VI발동
-
7
우진, 82.70억원 규모 공급계약(2026년 표준형 원전 O/H용 노내핵계측기(ICI) 구매(1차)) 체결
-
8
한국항공우주, 1,393.71억원 규모 공급계약(A350/A320neo 엔진 낫셀(Engine Nacelle) 부품 공급) 체결
-
9
1억원 이상 매도체결 상위 20 종목(코스피)
-
10
포바이포, 24.42억원 규모 공급계약(The Wave 사업 미디어파사드 제작 및 설치) 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