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감물가 영향력 1위는 라면
이지안 기자(cup@mk.co.kr)
입력 : 2025.07.01 17:46:23 I 수정 : 2025.07.01 20:16:31
입력 : 2025.07.01 17:46:23 I 수정 : 2025.07.01 20:16:31
구매빈도 높아 소비심리 직결
유가공품·빵·간편식 뒤이어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장바구니 물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품목 1위는 면류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 상승폭이 크지 않아도 구매 빈도가 높아 체감 물가를 높인다는 분석이다.
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의 '가공식품 소비자태도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소비자가 장바구니 물가에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고 응답한 품목은 면류(18.4%)였다. 이어 유가공품(12.4%), 빵 및 떡류(8.4%), 간편식(8.1%)이 뒤를 이었다.
면류의 가격 상승률은 일부 품목을 제외하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지난해 면류 중 국수는 소비자물가지수 153.60으로 비교적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반면 라면(117.84)과 파스타면(133.64)은 치즈(138.27), 빵(130.50), 초콜릿(133.59) 등 다른 가공식품과 비슷하거나 낮은 수준이다. 그럼에도 면류가 논란의 중심에 선 이유는 '소비 빈도'가 높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해 가공식품 지출액 중 면류가 차지한 비중은 15.3%로 가장 컸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일수록 가격 변동에 대한 소비자 체감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
이재명 대통령이 "라면 2000원"을 언급한 이후 당정은 가공식품 가격 안정 방안을 모색 중이다. 정부가 식품 물가 안정을 위해 주로 사용하는 수단은 할당관세다.
실제로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밀가루 가격이 급등했을 때도 밀을 할당관세 품목에 포함시킨 바 있다. 하지만 할당관세는 간접적인 방식이라 소비자가 체감할 만큼의 가격 안정으로는 이어지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라면이 물가 통제의 상징처럼 부각되는 데 대해 형평성 논란도 있다. 실제로 상승률은 크지 않지만 정책의 주요 타깃이 되고 있어 과도한 정치적 상징화라는 지적이 나온다.
[이지안 기자]
유가공품·빵·간편식 뒤이어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장바구니 물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품목 1위는 면류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 상승폭이 크지 않아도 구매 빈도가 높아 체감 물가를 높인다는 분석이다.
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의 '가공식품 소비자태도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소비자가 장바구니 물가에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고 응답한 품목은 면류(18.4%)였다. 이어 유가공품(12.4%), 빵 및 떡류(8.4%), 간편식(8.1%)이 뒤를 이었다.
면류의 가격 상승률은 일부 품목을 제외하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지난해 면류 중 국수는 소비자물가지수 153.60으로 비교적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반면 라면(117.84)과 파스타면(133.64)은 치즈(138.27), 빵(130.50), 초콜릿(133.59) 등 다른 가공식품과 비슷하거나 낮은 수준이다. 그럼에도 면류가 논란의 중심에 선 이유는 '소비 빈도'가 높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해 가공식품 지출액 중 면류가 차지한 비중은 15.3%로 가장 컸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일수록 가격 변동에 대한 소비자 체감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
이재명 대통령이 "라면 2000원"을 언급한 이후 당정은 가공식품 가격 안정 방안을 모색 중이다. 정부가 식품 물가 안정을 위해 주로 사용하는 수단은 할당관세다.
실제로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밀가루 가격이 급등했을 때도 밀을 할당관세 품목에 포함시킨 바 있다. 하지만 할당관세는 간접적인 방식이라 소비자가 체감할 만큼의 가격 안정으로는 이어지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라면이 물가 통제의 상징처럼 부각되는 데 대해 형평성 논란도 있다. 실제로 상승률은 크지 않지만 정책의 주요 타깃이 되고 있어 과도한 정치적 상징화라는 지적이 나온다.
[이지안 기자]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국민연금 이어서 KIC도, TPA 도입 준비 ··· 운용수익률 1%p 더 높인다
-
2
비트코인-알트코인, 올들어 시총 격차 더 벌어져
-
3
‘화학 소재’ 보원케미칼, 상장 주관사에 BNK증권
-
4
오후장★테마동향
-
5
오후장 특징주★(코스닥)
-
6
韓개미의 테슬라 사랑···급락에도 레버리지 베팅
-
7
S&P도 韓경제 걱정 한가득...“한국기업 등급전망 부정평가 2배로”
-
8
코웨이(021240) 소폭 상승세 +4.08%, 3거래일 연속 상승
-
9
바빌론 공동 창립자 “비트코인 기반 스테이블코인 출시할 것”
-
10
코스닥 기관 순매수,도 상위20종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