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견도 성격 따라 TV 시청 습관 달라…하루 평균 14분 시청"
美 연구팀 "개 기질 차이, TV 관련 행동 교정 등에 활용 가능"
이주영
입력 : 2025.07.18 05:00:01
입력 : 2025.07.18 05:00:01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집에서 기르는 반려견들의 TV 시청 습관도 각 반려견의 성격에 따라 달라지며, 반려견들은 평균적으로 하루 14분 8초 동안 TV를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려견들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 없음.[연합뉴스 자료사진]
미국 앨라배마주 오번대 제프리 캐츠 교수팀은 18일 과학 저널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서 반려견 453마리에 대해 소유주를 대상으로 개의 성격과 TV 시청 시간 및 행동 등을 조사한 연구에서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흥분을 잘하는 개들은 TV 화면 물체에 반응할 가능성이 높지만, 겁이 많거나 불안해하는 개들은 초인종·자동차 소리 등 비동물 자극에 반응하는 경향이 많았다며 이런 기질 차이를 반려견 훈련 등에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최근 몇 년간 개 전용 TV 프로그램이 증가하고 있고 개들이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에 노출되는 빈도도 늘고 있다며 하지만 지금까지 반려견들이 TV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인구 집단 수준에서 평가한 적은 없었다고 지적했다.
TV는 개들에게 독특한 지각 경험을 제공하며, 이는 개의 일상생활에서 정신적 자극 또는 스트레스 요인으로 이어질 수 있지만 개의 TV 시청 행동을 정량화하고 그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반려견 주인 650명을 모집하고 이들의 응답을 바탕으로 개의 TV 시청 습관을 관찰하기 위한 새로운 TV 시청 척도(Dog Television Viewing Scale, DTVS)를 만들고, 453마리의 성격과 TV 시청 행동 등을 분석했다.
반려견 453마리의 나이는 생후 2개월~16살이었고, 이 중 300마리는 미국커넬클럽(AKC)에서 인정하는 품종에 속했으며, 153마리는 혼합종이거나 AKC 그룹에 공식적으로 포함되지 않은 품종이었다.
반려견 주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는 주인이 개에게 TV 시청에서 가르치려 했는지, 주인의 TV가 주당 평균 몇시간 켜져 있는지, 개가 TV에 주의를 기울이는 평균 시간(초 단위) 등이 포함됐다.
또 동물 자극 또는 비동물 자극에 대한 개의 반응, 화면상 물체를 따라가는 정도 등도 평가했다.
그 결과 개들은 다른 자극보다 화면에 나타난 동물을 볼 때 더 많이 반응하는 경향을 보였다.
206마리(45.5%)가 짖는 소리나 울부짖음 같은 개의 소리에 항상 반응하는 것으로 보고됐다.
또 성격에 따라서는 '흥분을 잘하는' 개들은 화면 속 물체가 현실에 존재하는 것처럼 더 자주 따라가는 반응을 보였고, 겁이 많거나 불안해하는 개들은 자동차 경적이나 초인종 소리 같은 비동물 자극에 더 많이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 연구 결과가 모든 개에게 일반화되지 않을 수 있지만 TV와의 상호작용이 개들에게 풍부하고 의미 있는 경험을 줄 수 있다며 개들의 기질 차이를 TV에 대한 문제 행동 교정 훈련법 등에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 출처 : Scientific Reports, Lane I.
Montgomery et al., 'Characterizing TV viewing habits in companion dogs',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98-025-06580-y scitech@yna.co.kr(끝)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 없음.[연합뉴스 자료사진]
미국 앨라배마주 오번대 제프리 캐츠 교수팀은 18일 과학 저널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서 반려견 453마리에 대해 소유주를 대상으로 개의 성격과 TV 시청 시간 및 행동 등을 조사한 연구에서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흥분을 잘하는 개들은 TV 화면 물체에 반응할 가능성이 높지만, 겁이 많거나 불안해하는 개들은 초인종·자동차 소리 등 비동물 자극에 반응하는 경향이 많았다며 이런 기질 차이를 반려견 훈련 등에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최근 몇 년간 개 전용 TV 프로그램이 증가하고 있고 개들이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에 노출되는 빈도도 늘고 있다며 하지만 지금까지 반려견들이 TV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인구 집단 수준에서 평가한 적은 없었다고 지적했다.
TV는 개들에게 독특한 지각 경험을 제공하며, 이는 개의 일상생활에서 정신적 자극 또는 스트레스 요인으로 이어질 수 있지만 개의 TV 시청 행동을 정량화하고 그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반려견 주인 650명을 모집하고 이들의 응답을 바탕으로 개의 TV 시청 습관을 관찰하기 위한 새로운 TV 시청 척도(Dog Television Viewing Scale, DTVS)를 만들고, 453마리의 성격과 TV 시청 행동 등을 분석했다.
반려견 453마리의 나이는 생후 2개월~16살이었고, 이 중 300마리는 미국커넬클럽(AKC)에서 인정하는 품종에 속했으며, 153마리는 혼합종이거나 AKC 그룹에 공식적으로 포함되지 않은 품종이었다.
반려견 주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는 주인이 개에게 TV 시청에서 가르치려 했는지, 주인의 TV가 주당 평균 몇시간 켜져 있는지, 개가 TV에 주의를 기울이는 평균 시간(초 단위) 등이 포함됐다.
또 동물 자극 또는 비동물 자극에 대한 개의 반응, 화면상 물체를 따라가는 정도 등도 평가했다.
그 결과 개들은 다른 자극보다 화면에 나타난 동물을 볼 때 더 많이 반응하는 경향을 보였다.
206마리(45.5%)가 짖는 소리나 울부짖음 같은 개의 소리에 항상 반응하는 것으로 보고됐다.
또 성격에 따라서는 '흥분을 잘하는' 개들은 화면 속 물체가 현실에 존재하는 것처럼 더 자주 따라가는 반응을 보였고, 겁이 많거나 불안해하는 개들은 자동차 경적이나 초인종 소리 같은 비동물 자극에 더 많이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 연구 결과가 모든 개에게 일반화되지 않을 수 있지만 TV와의 상호작용이 개들에게 풍부하고 의미 있는 경험을 줄 수 있다며 개들의 기질 차이를 TV에 대한 문제 행동 교정 훈련법 등에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 출처 : Scientific Reports, Lane I.
Montgomery et al., 'Characterizing TV viewing habits in companion dogs',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98-025-06580-y scitech@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비투엔,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
-
2
비투엔, 자기 전환사채 매도 결정
-
3
대체거래소(NXT) 애프터마켓 상승률 상위종목
-
4
당일 2분기 실적 발표 예정 주요 기업(07.18 발표 예정)
-
5
가상화폐 3개 법안 美하원 통과에 '엑스알피' 최고가 경신
-
6
전일 2분기 실적 발표 주요 기업(2025.07.17 발표)
-
7
비투엔, 자기 전환사채 매도 결정
-
8
美전문가 "韓, 트럼프와 협상 잘해도 관세율 15∼18% 가능성 커"
-
9
주요 기업 영업이익 예상치 및 실적 발표 일정 (2025년 2분기, 2025.07.18 기준, 연결) -1
-
10
“한화시스템, ‘방산·조선’ 두 마리 토끼 다 잡았다”…목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