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한국, 자동차 관세 인하 위해 미국 투자 검토<블룸버그>

한수진 매경 디지털뉴스룸 기자(han.sujin@mk.co.kr)

입력 : 2025.07.24 09:57:27 I 수정 : 2025.07.24 10:48:12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 출처 = AFP 연합뉴스]
한국 정부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와의 관세를 포함한 통상협상에서 미국에 투자하는 펀드 설립을 논의하고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23일(현지시간) 소식통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는 일본이 미국과 전날 무역 합의를 체결한 방식과 유사하다.

지금까지 공개된 미·일 무역 합의를 보면 일본은 애초 트럼프 대통령이 설정한 25%의 상호관세를 15%로 낮추는 조건으로 5500억 달러(약 759조원)의 대미(對美) 투자를 약속했다. 일본산 제품의 미국 수출 관세율 15%는 자동차에도 적용된다.

규모는 명확하지 밝혀지지 않지만, 미국은 한국에 수백억 달러 규모의 투자 약속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협상은 아직 유동적이라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평택항에서 수출 기다리는 자동차.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특히 한 소식통은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이 한국과의 협의 과정에 일본에 제시한 것과 같은 금액인 4000억 달러(약 548조원)를 제안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 대표단과의 막판 협상에서 이를 5500억 달러로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한국과의 협상은 자동차를 포함해 관세율을 25%에서 15%로 낮추는 데 초점이 맞춰지고 있으며, 일본이 보잉 항공기와 농산물 등 미국산 제품을 구매한 것처럼 한국도 핵심 분야에서의 추가 구매 약속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게 소식통의 전언이다.

이와 관련, 백악관과 한국 산업통상자원부는 논평을 거부했다고 블룸버그는 밝혔다.

블룸버그는 아울러 일본이 미국과 자동차를 포함한 관세율을 15%로 인하한 무역 합의를 이룬 것이 한국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국이 일본과 유사한 합의를 이루지 못하면 글로벌 자동차 판매 경쟁에서 뒤처질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 싱크탱크 허드슨 연구소의 윌리엄 추 연구원은 블룸버그에 “이(미일 합의)는 한국에 큰 압박을 가하고 있다”며 “만약 15%로 관세율을 인하할 수 있다면 기쁠 것이지만, 일본과는 다른 위치에 있다”고 말했다.

증권 주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