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안전공단, 페달 오조작 예방 기술특허 3종 민간에 개방
비상등으로 수동 출력제한 등 아이디어도 제작사에 제공
임성호
입력 : 2025.07.24 15:00:01
입력 : 2025.07.24 15:00:01

[한국교통안전공단(TS)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임성호 기자 = 한국교통안전공단(TS)은 24일 자동차 페달 오조작 사고 예방 기술 특허 3종을 민간에 무료로 개방한다고 밝혔다.
이들 특허는 운전자의 가속페달 이상 답력(밟는 힘) 측정을 통한 출력 제어, 주행 중 전방 물체 감지를 통한 출력 제어, 주차장·어린이보호구역 등 급가속이 필요 없는 위치 감지를 통한 출력 제어 기술 등 3종이다.
공단은 개방한 특허에 대한 자문 및 컨설팅을 통해 기술 이전도 지원한다.
자동차 제작사가 효과적인 페달 오조작 사고 예방 기술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돕고, 페달 오조작 방지 장치 제작 업체도 함께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공단은 이외에도 그간 페달 오조작 사고 조사 경험을 바탕으로 자동차 제작사에 페달 오조작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기술 개발에 적극 반영할 수 있도록 권고했다.
의도하지 않은 가속 상황에서 비상등을 켜 수동으로 출력을 제한할 수 있는 방안과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ADAS) 기능 사용 시 차량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안전 주의 등이다.
앞서 공단은 지난 2023년 12월 페달 오조작 상황에서 전자식 주차브레이크(EPB)를 활용한 안전 조치를 마련할 것을 제작사들에 권고한 바 있다.
일부 제작사는 이를 받아들여 EPB가 계속 작동될 경우 차량 동력을 자동으로 차단해 제동거리를 단축하도록 시스템을 개선하기도 했다.
공단이 올해 들어 지난 7일까지 파악한 급가속 의심 사고 61건 중 대부분인 44건(72.1%)은 페달 오조작이 원인인 것으로 판단되는 사고였다.
나머지는 사고 조사가 진행 중이다.
오조작 사고는 간선도로(33건·54.1%)에서 가장 잦았고, 주차장(15건·24.6%) 및 골목길 등의 국지도로(11건·18.0%)에서도 발생했다.
전체 61건 중 11건의 사고는 전방에 차량이나 사람, 장애물이 있었다.
정용식 공단 이사장은 "그간 축적한 기술과 노하우를 아낌없이 개방해 페달 오조작 사고라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를 신속히 해결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특허 개방 및 사고 예방 아이디어 공유가 자동차 산업 전반의 안전 수준을 한 단계 더 높이고, 혁신을 촉진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sh@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