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HMM 2100억·팬오션 1750억…탄소세 폭탄에 해운업계 날벼락
강인선 기자(rkddls44@mk.co.kr)
입력 : 2025.07.29 18:52:58 I 수정 : 2025.07.29 21:58:05
입력 : 2025.07.29 18:52:58 I 수정 : 2025.07.29 21:58:05
탄소 부과금 본격화에 해운업계 초비상
IMO·EU 규제로 수천억대 비용 예상
친환경 선박 도입·대체 연료 확보도 난관
“선박 규모, 연료 종류별 차별적 대안 필요”
IMO·EU 규제로 수천억대 비용 예상
친환경 선박 도입·대체 연료 확보도 난관
“선박 규모, 연료 종류별 차별적 대안 필요”

국내 A해운사는 최근 탄소 부과금을 계산하는 데 진을 빼고 있다. 지난 4월 IMO가 선박의 연료 종류와 배출량 수준에 따라 내야 할 부과금 액수를 밝히면서 2028년부터 매년 수백억 원의 부과금을 적용받을 것으로 예상돼서다. A사 관계자는 “총 연료 사용량, 연료 종류 등에 따라 부과금 계산식이 달라진다”며 “부과금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낮출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느라 정신없다”고 말했다.
앞서 IMO 중기조치 초안이 승인된 4월 해양수산부는 2023년 데이터를 기준으로 국내 선사들이 내야 할 부과금을 ‘수천억 원’ 규모로 언급했다. 구체적인 수치와 근거는 공개하지 않았다. 그러나 업계 분석 결과 2028년 7000억원 수준인 국내 선사 부과금은 2년 사이에 1조4000억원 수준으로 100% 가까이 증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운업계는 유럽을 기항하는 한국 국적 선박 약 173척이 부담해야 할 연간 탄소 비용을 올해 약 1700억원 수준으로 전망했다. 이 금액은 2030년 약 2200억원, 2040년 5000억원, 2050년에는 1조원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IMO 규제가 더해지는 것이다.
그러나 국내 선사의 준비는 아직 턱없이 부족하다.
한국해운협회에 따르면 현재 한국 선사들이 운영하는 전체 선대에서 친환경 선박 비중은 5.9%에 불과하다. 더 큰 문제는 지금 친환경 선박을 신규 발주해도 주요 조선소의 신조 슬롯이 이미 2028년 이후로 밀려 있다는 점이다. 업계 관계자는 “선박 건조에는 평균 2~3년 소요돼 지금 발주해도 실제 인도는 2030년 이후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박정석 한국해운협회 회장은 4월 부산에서 열린 ‘아워오션 콘퍼런스’에서 “탄소중립 실현의 핵심은 대체 연료인데, 해운 산업에 공급될 수 있는 연료가 심각하게 부족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2023년 기준 해운 산업이 필요로 하는 친환경 연료만 해도 4800만t인데, 전 산업을 통틀어도 현재 총 공급량이 6300만t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대체 연료의 가용성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만큼 국제사회가 협력해 지속 가능한 연료 공급 기반을 마련해야 중규모 선사들의 전환 수요를 촉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장기적으로는 친환경 선박으로의 전환과 대체 연료 생산을 확대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중단기적으로는 선박 규모에 따라 다양한 방법을 혼합해 화석 연료 의존성을 줄여 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국선급 관계자는 “재화 중량 10만t 이상의 대형 선박은 연료탱크 및 장비 설치 공간이 충분해 액화천연가스(LNG)가 가장 경제적인 대안이며 5만t 전후인 중형 선박은 설치 공간과 연료 수급 가능성을 고려했을 때 바이오디젤, LNG가 가장 유력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노후 선박은 별도 개조 없이도 사용 가능한 바이오디젤이 유일한 실질적 대안”이라고 덧붙였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대출규제로 건설주 힘못쓰는데…해외매출 높은 이곳 주가 더 뛴다
-
2
美국무부, 北김여정 담화에 "트럼프, 누구와도 대화할 의지있어"(종합)
-
3
공매도 비중 상위 종목
-
4
美中, '관세휴전' 90일 연장 가능성…美 "트럼프가 최종 결정"(종합2보)
-
5
[AI픽] 'K-AI 5곳 뽑는다'…정부, 독자 AI모델 평가 돌입
-
6
[고침] 국제(머스크 "삼성전자 회장과 화상통화…파트너십…)
-
7
JP모건, 골드만삭스로부터 애플 신용카드 사업 인수 논의
-
8
美, 韓에 '최선의 최종안' 요구…한미 무역협상 막판 중대 고비
-
9
‘이자 장사’ 지적 나올 만했네…주담대 24조 늘 때 자영업자 대출은 뒷걸음
-
10
산업부, 10월 APEC 전 '통상 위한 AI 이니셔티브' 구체화 모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