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 5년간 37조 '권역외대출'…272개 금고 '33%룰' 위반

"권역외 대출, 부실대출 가능성 높아…약정액 기준으로 관리해야"
차민지

입력 : 2025.08.03 06:11:00


MG새마을금고
[촬영 안 철 수]

(서울=연합뉴스) 차민지 기자 = 새마을금고가 최근 5년간 37조원이 넘는 권역외 대출을 취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권역외 대출이란 채무자의 주소나 사업장, 담보 부동산 소재지 중 한 곳도 대출을 취급한 금고의 사무소와 같은 권역에 속하지 않는 대출을 말한다.

3일 허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행정안전부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새마을금고는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 11만1천652건의 권역외 대출을 취급했다.

약정액 규모는 37조2천149억원에 이르렀다.

연도별로는 2020년 6조7천748억원에서 2021년 12조5천680억원으로 급증했다가 이듬해인 2022년 11조1천24억원으로 줄었다.

뱅크런(현금 대량 인출 사태) 사태를 겪은 2023년에는 2조826억원으로 급감했다가 지난해 다시 4조6천869억원으로 반등했다.

올해는 상반기에만 1조9천561억원의 권역외 대출을 약정했다.

문제는 과도한 권역외 대출 관행이 부실 대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권역 밖 지역의 지역 경기와 리스크를 제대로 파악하기 어려워 대출 심사가 부실해지고, 거리상 멀리 떨어진 곳의 정보 확인 한계로 허위 서류 작성도 용이하기 때문이다.

새마을금고중앙회는 금고의 권역외 대출을 당해연도 대출 신규 취급액의 33% 이내로 관리하고 있다.

올해부터는 분기별로 권역외 대출 기준비율을 초과할 경우 다음 분기 권역외 대출 실행을 전산상 차단하는 슬라이딩 방식을 도입해 총 권역외 대출비율이 33% 이내로 관리되도록 하고 있다.

분기별 기준비율은 1분기 60%, 2분기 50%, 3분기 40%, 4분기 33.3%다.

그러나 최근 5년간 272개 금고에서 연말 잔액기준 권역외 대출 누적 취급 비율이 33%를 넘겼다.

이 중 한 금고는 지난 2021년 권역외 대출이 신규대출의 87.1%에 달하기도 했다.

연말 시점의 잔액을 기준으로 권역외 대출 비율을 산정하는 현행 제도에 대해서도 실효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출이 연중 반복적으로 실행·상환되더라도 말일 시점의 잔액만 맞추면 규제 위반으로 잡히지 않아 실제 연간 대출 규모를 통제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새마을금고중앙회가 관리하는 연말잔액 기준의 권역외 대출은 29조3천379억원 규모였으나, 실제 약정액 기준으로 재집계한 권역외 대출은 37조2천149억원으로 약 8조원 차이가 났다.

또 연간 권역외 대출 누적 취급 비율이 33%를 넘는 금고를 약정액 기준으로 재산정하면 489개로 늘어났다.

허영 의원은 "권역외 대출 취급비율 산정 시 실제 대출 약정액 기준으로 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새마을금고는 지역밀착형 서민금융이라는 명분으로 금융감독권 이관을 회피해온 만큼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근 5년 새마을금고 권역외 대출 취급액
단위: 백만원, %
연도분기약정액 기준기말잔액 기준
취급액취급액권역외대출비율
2020년1분기1,833,2122,188,58313.0%
2분기1,879,3114,194,76211.5%
3분기1,303,5904,931,4109.2%
4분기1,758,7355,846,1608.0%
합계6,774,8495,846,1608.0%
2021년1분기2,184,6162,120,38410.7%
2분기3,192,6814,891,96111.4%
3분기3,581,7397,783,76611.4%
4분기3,608,9869,975,79210.2%
합계12,568,0229,975,79210.2%
2022년1분기2,839,0602,236,27310.0%
2분기4,185,7525,034,84510.6%
3분기2,780,7337,262,27011.0%
4분기1,296,9308,440,31310.7%
합계11,102,4758,440,31310.7%
2023년1분기539,626468,0305.0%
2분기605,5891,011,7595.3%
3분기389,3291,378,4755.1%
4분기548,0851,818,5465.2%
합계2,082,6301,818,5465.2%
2024년1분기659,160692,8217.8%
2분기1,010,0531,615,4977.6%
3분기1,301,6822,421,0946.8%
4분기1,716,0873,257,1455.8%
합계4,686,9813,257,1455.8%
이상 5개년 합계37,214,95829,337,955-
2025년1분기1,166,1871,198,31210.5%
2분기789,9871,942,5087.5%
소계1,956,1741,942,5087.5%
(자료= 허영 의원실, 행정안전부 제출자료 재가공) chacha@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8.05 15:17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