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복권 판매액 6.4조 역대 최대...구입자 절반이 중산층 이상
홍혜진 기자(honghong@mk.co.kr)
입력 : 2023.01.11 19:01:18
입력 : 2023.01.11 19:01:18
성인 절반 1년내 복권 구입
![](https://wimg.mk.co.kr/news/cms/202301/11/news-p.v1.20230111.7eec7d89560047049dd9aaec9c0584f3_P1.png)
작년 복권 판매액이 6조원을 돌파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복권을 산 사람 중 절반은 소득이 상위 40% 구간에 속한 중산층 이상으로 나타났다. 저소득층이 주로 복권을 살 것이란 통념이 빗나간 셈이다.
11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2022년 복권 인식도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복권 판매액은 6조4292억원으로 전년(5조9753억원)보다 7.6% 증가했다. 연간 복권 판매액이 6조원을 넘어선 것은 지난해가 처음이다.
복권 판매액은 2019년 4조8000억원에서 코로나19가 확산한 2020년 5조4000억원으로 뛰었고, 이후 2021년과 2022년 연달아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종류별로 보면 로또 복권 판매액이 5조4468억원으로 전년 대비 6.0% 늘었다.
즉석복권 판매액(5679억원)은 1년 새 28.6% 증가했다. 이외 연금복권(2930억원), 전자복권(1216억원) 등도 판매액이 늘었다.
만 19세 이상 성인 가운데 최근 1년 이내 복권 구매 경험이 있는 사람은 56.5%로 집계됐다. 이를 전체 성인 인구(4300만명)에 적용하면 작년 한 해에만 약 2400만명이 복권을 사들인 것으로 추산된다.
지난해 복권 구매 경험자를 소득 분위별로 살펴보면 가구 소득 기준 4분위(월소득 466~673만원)가 39.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소득 5분위(674만원 이상)도 10.9% 있었다. 복권을 산 사람 가운데 절반가량(49.9%)은 상위 40% 구간에 속한 중산층 이상 소득자였던 셈이다.
이외 소득 3분위(317~465만원)가 26.5%, 2분위(189~316만원)가 17.7%를 각각 차지했다. 소득 하위 20%인 1분위(118만원 이하)는 3.3%에 그쳤다.
연령별 구매율은 60대 이상이 27.4%로 가장 높았고, 20대(12.8%)가 가장 낮았다. 성별로는 남성(55.2%) 구매자가 여성(44.8%)보다 많았다.
복권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1년 전보다 소폭 늘었다. 조사 결과 응답자 가운데 74.0%는 ‘복권이 있어서 좋다’고 응답했는데, 이는 전년(73.7%)보다 0.3%포인트 상승한 수준이다.
복권이 있어서 좋은 이유로는 ‘기대나 희망을 가질 수 있어서’라고 답한 경우(40.5%)가 가장 많았다. ‘좋은 일이나 공익사업에 사용돼서’라고 답한 경우도 32.7% 있었다.
반면 복권이 있어서 좋지 않은 이유로는 ‘사행성을 조장해서(21.3%)’, ‘당첨 확률이 낮아서(20.2%)’ 등의 응답이 나왔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사상 최대 실적 냈지만…KB금융, 주주환원 실망감에 5%대 하락
-
2
코스피 프로그램 순매도 상위종목
-
3
변동성완화장치(VI) 발동 종목, 발동시간 기준
-
4
코스닥지수 : ▲6.49P(+0.89%), 737.47P
-
5
코스닥 프로그램 순매수 상위종목
-
6
맥스트(377030) 상승폭 확대 +8.28%
-
7
하이퍼코퍼레이션(065650) 상승폭 확대 +11.97%, 9거래일만에 반등
-
8
“서학개미 잡아라”…한국투자증권, MTS 해외주식 신규 기능 추가
-
9
SK바이오팜, 24년4분기 연결 영업이익 406.54억원, 컨센서스 추정치 상회
-
10
HD현대건설기계, 24년4분기 연결 영업이익 353억원, 컨센서스 추정치 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