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보, 장보기 너무 겁나요”…환율 급등에 서민들 ‘이것’ 더 취약해진다
류영상 매경닷컴 기자(ifyouare@mk.co.kr)
입력 : 2024.12.20 13:22:09 I 수정 : 2024.12.20 14:47:22
입력 : 2024.12.20 13:22:09 I 수정 : 2024.12.20 14:47:22
생산자물가 상승 전환
환율 불안 ‘칩플레이션’
“저렴한 상품이 더 뛴다”
환율 불안 ‘칩플레이션’
“저렴한 상품이 더 뛴다”
원화 가치가 1450원대까지 떨어지면서 물가 상승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환율이 1450원선을 넘어선 건 리먼사태로 촉발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5년만에 처음이다.
더욱이 지난달 수입품을 포함하는 국내 공급물가와 생산자물가도 넉 달 만에 상승세로 돌아서 향후 소비자물가 등에도 상방 압력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2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1월 국내 공급물가지수는 10월(123.47) 보다 0.6% 오른 124.15(2020년 수준 100)로 집계됐다. 지난 4윌(1.0%) 이후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이다.
이문희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공급물가는 생산자물가와 수입물가를 결합해 산출한다”며 “통관 시점 기준 수입물가가 원달러 환율과 국제 유가 상승 등으로 생산자물가 보다 큰 폭으로 올랐다”고 설명했다.
이어 “환율 상승 영향은 원화 기준 수입물가에 반영되면서 시차를 두고 생산자물가나 소비자물가에도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11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0월(119.01) 보다 0.1% 오른 119.11로 집계됐다. 이 지수는 지난 7월 119.56을 기록한 뒤 8월 119.38, 9월 119.16, 10월 119.01 등으로 하락하다가 4개월 만에 반등했다.
생산자물가는 생산자가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과 서비스 등의 가격 변동으로 품목마다 통상 1~3개월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반영된다. 최근 추세를 살피기 위해 주 지표로 전월대비 수치를 사용한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전력·가스·수도 및 폐기물은 산업용 전력(7.5%) 등이 올라 2.3% 상승했다. 공산품도 석탄 및 석유제품(1.6%)을 중심으로 0.1% 올랐다.
반면 농림수산물은 농산물(-5.1%), 축산물(-2.8%) 등이 내려 3.6% 하락했다. 서비스업도 금융 및 보험서비스(-1.0%) 등이 내리면서 0.1% 낮아졌다.
세부품목 중에는 경유(4.1%), 제트유(6.0%) 에틸렌(4.8%) 등이 올랐고, 배추(-42.3%), 상추(-64.1%), 돼지고기(-4.1%), 닭고기(-5.8%) 등은 크게 떨어졌다.
국내 출하에 수출품까지 더한 11월 총산출물가지수 역시 0.6% 상승했다. 농림수산품이 3.4% 내렸지만 공산품은 0.9% 올랐다.
이 팀장은 “11월 통관 시점 기준의 수입물가는 환율 상승과 10월 국제유가 상승 영향으로 생산자물가 보다 더 크게 올랐다”면서 “최근 환율 상승 여파가 수입물가에 반영되면서 시차를 두고 생산자물가와 국내공급물가에 반영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20일 원달러 환율은 이틀째 금융위기 수준인 1450원대를 기록하고 있다. 서울외환시장에 따르면 이날 환율은 전일대비 1.9원 내린 1450.0원으로 출발했다.
하건형 신한투자증권 책임연구원은 “현재 대외 강달러는 물가 보다는 경기에 집중, 당분간 1450원선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다행스러운 점은 최근 외환보유고 부족으로 인한 환율 상승 요인이 정부의 외환스와프 체결 등으로 어느정도 해소되는 것 같다”고 전했다.
복수의 금융권 관계자는 “환율 고공행진이 지속하면 수입 물가를 밀어올려 가계와 수출입 기업에 부담이 가중될 수 밖에 없다”면서 “특히, 저가 상품 가격이 고가 상품보다 더 크게 오르는 이른바 ‘칩플레이션’(cheapflation) 현상이 나타나면 서민층에 더 가혹한 한파로 다가올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칩플레이션은 가격이 낮다는 의미의 ‘칩’(cheap)과 물가 상승을 의미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다. 이 같은 현상은 고물가 시기 저렴한 상품을 주로 소비하는 취약계층 부담이 상대적으로 더 가중됐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한은은 칩플레이션이 취약계층에 더 충격을 줄 것으로 분석했다.
소득 계층별로 저가, 고가 상품에 얼마나 쓰는지를 추산해 계산해봤더니, 2019년 4분기~2023년 3분기 소득 하위 20%의 실질적인 누적 물가상승률이 13%로, 소득 상위 20%(11.7%)보다 1.3%포인트 더 높았다.
한은은 “향후 인플레이션이 높은 시기에는 특히 중저가 상품의 가격 안정에 집중해서 취약계층의 부담을 완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투자자도 방전될 지경”…배터리 관련주 우수수, 중국만 잘나가네
-
2
이베이, G마켓 소수지분 매각 나선다
-
3
[표] 주간 거래소 외국인 순매수도 상위종목
-
4
[표] 주간 거래소 기관 순매수도 상위종목
-
5
“초코과자 쳐다도 못 보겠네”…원화값 폭락에 가만있던 코코아값에 무슨일
-
6
[표] 주간 코스닥 기관 순매수도 상위종목
-
7
[표] 주간 코스닥 외국인 순매수도 상위종목
-
8
고병원성 AI 발생 잇따라…김포 산란계 농장서 추가(종합)
-
9
"美, '러 천연가스 결제' 제재서 튀르키예 면제"
-
10
'위기의 車산업 살려라'…EU, 내달 전략대화 출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