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랩 IPO, 시총 1000억 이상 목표
입력 : 2023.06.13 17:00:22
제목 : 와이랩 IPO, 시총 1000억 이상 목표
웹툰+영상 제작 역량 내재화로 차별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BM으로 실적 상승 꾀해[톱데일리] 웹툰 기반의 종합 콘텐츠 회사 와이랩이 1000억원 이상의 시가총액으로 코스닥 시장 상장을 시도한다. 이번 공모에서 와이랩은 웹툰 지적재산권(IP)을 2차 저작물로 확장하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사업모델을 차별화 요소로 내세웠다. 안정적 현금흐름을 창출하는 웹툰 사업에 매출 확대가 용이한 영상 사업을 더해 실적을 끌어올리겠다는 구상이다.
1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대표주관회사인 한국투자증권 와이랩의 피어그룹(비교기업)으로 디앤 씨미디어, 스튜디오드래곤, 삼화네트웍스 등 3개 회사를 선정했다. 디앤씨미디어는 웹툰 관련 매출 비중이 50% 이상인 웹툰 회사로 분류된다. 스튜디오드래곤과 삼화네트웍스와 스튜디오드래곤은 드라마제작 관련 매출이 대부분이다. 웹툰과 영상이라는 와이랩 사업의 두 축을 반영한 피어그룹 선정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와이랩 매출 비중을 살펴보면 웹툰 제작이 39%, 영상 제작이 50% 수준을 차지한다. 영상 매출이 웹툰 매출을 웃돌고 있는 양상이다.
와이랩은 기업가치 산정 방법으로 미래 추정 주당순이익의 현가를 피어그룹 평균 주가수익비율(PER)과 곱하는 방식을 택했다. 피어그룹 3개사의 올해 1분기 순이익을 연환산한 주가수익비율(PER)은 30.7배이며 와이랩의 2025년 추정순이익은 94억원에 연할인율 20%을 적용해 57억원의 현재가치를 계산했다. 평가액 대비 할인율 33.14%에서 23.59%를 감안한 목표시가총액은 최소 1170억원, 최대 1340억원 정도다.
와이랩은 설립 초기부터 웹툰 IP를 기반으로 한 2차 저작물 사업을 준비해 왔다. 국내 대부분 웹툰 회사들은 작가가 저작권을 보유한 웹툰 작품을 유통하는 '웹툰 에이전시' 형태를 띠고 있다. 반면 와이랩은 육성한 작가를 직접 고용해 작품을 유통하는 사업 모델을 키워왔다. 각각의 웹툰을 공통의 세계관으로 묶거나 영상화하기 위해선 저작권을 회사가 보유할 필요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와 이랩은 자체 웹툰 세계관을 구성하는 약 40종의 웹툰 전체에 대해 단독 또는 대표저작권을 확보했다. 아울러 IP 기반 영상물의 기획, 개발, 캐스팅, 편성, 프로덕션에 이르는 영상 제작의 전 부문을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것으로 평가된다. 와이랩의 사업모델은 한국거래소의 기술특례상장 전문평가기관인 이크레더블과 한국평가데이터로부터 각각 AA등급과 A등급을 인정받았다. 와이랩이 장래 환경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을 만큼 높은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뜻이다.
제작 역량 내재화를 위한 다년간의 노력은 지난해 말부터 아마존 프라임, 티빙 등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를 통해 방송된 드라마 '아일랜드'를 통해 결실을 맺었다. 아일랜드 제작비 상당 부분을 와이랩이 매출로 인식하면서 영상제작 사업부 매출은 지난 2021년 94억원에서 지난해 151억원으로 61% 성장했다.
와이랩의 영상제작 사업 성과는 올해 본격화 될 전망이다. 현재 와이랩은 웹툰 '하우스키퍼', '테러맨' 등을 애니메이션으로 공동제작하고 있으며, '스터디그룹', '선의의 경쟁'도 곧 영상 제작에 착수할 계획이다. 이밖에 와이랩은 지난해 3월 초능력 영웅 세계관인 '슈퍼스트링'에 속하는 웹툰 4종에 대한 영상공동기획·개발 계약도 체결했다.
와이랩이 지난해 순손실을 기록한 만큼 향후 수익성 개선 정도가 주가흐름을 가늠하는 변수가 될 것으로 예 상된다. 지난해 연결 기준 와이랩 매출은 약 300억원에서 매출원가 247억원을 제한 매출총이익은 51억원을 나타냈다. 판매비와관리비가 매출총이익 규모를 웃돌면서 와이랩은 4억원 가량의 영업적자를 냈다. 영업손익을 가산한 당기순이익은 마이너스(-) 약 6억원이다. 반면 사업에서 벌어들인 돈을 뜻하는 영업현금흐름(OCF) 지난 2021년 5억원, 2022년 7여억원으로 2년 연속 양의 값을 기록하고 있다.
와이랩은 올해 손익분기점(BEP)을 돌파해 흑자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증권신고서에 의하면 올해 연간 추정 실적은 매출 약 390억원, 영업이익 9억원, 당기순이익 10억원으로 각각 조사됐다.

톱데일리
신진섭 기자 jshin@topdaily.co.kr
해당 기사는 톱데일리(www.topdaily.kr)에서 제공한 것이며 저작권은 제공 매체에 있습니다. 기사 내용 관련 문의는 해당 언론사에 하시기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4.16 15:30
스튜디오드래곤 | 43,550 | 1,550 | -3.44%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