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현대판 노예제' 북한 강제노동 실태 첫 심층조사

국내입국 탈북민 대상…조사 결과는 비공개하고 정책수립에만 활용
하채림

입력 : 2023.06.18 07:17:01


평양 건설현장에 동원되는 김책공대 학생들
[미국인 레이 커닝햄 제공.연합뉴스 자료사진]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하채림 기자 = 정부가 국내 입국한 탈북민을 대상으로 북한 내 강제노동 실태를 심층 조사한다.

통일부 산하 북한인권기록센터는 연말까지 북한 내 강제노동 실태에 대한 심층조사·연구사업을 추진하는 것으로 18일 알려졌다.

최근 5년 이내 입국한 탈북자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해, 북한 내 구금시설, 학교, 각종 사회조직 등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강제노동 실태를 파악한다는 계획이다.

김정은 정권 전후 강제노동 양상의 변화와 북한의 강제노동 관련 법령·제도도 조사한다.

강제노동에 관한 정부의 심층조사는 이번이 처음으로, 조사 결과는 공개되지 않고 북한인권 정책 수립에만 활용된다.

통일부는 지난해엔 북한 내 여성권리와 근로권 실태에 관한 심층 조사를 실시했다.

세계인권선언, 자유권규약, 아동권리협약, 국제노동기구 협약 등 국제인권규약과 협약상 강제노동이란 본인의 자유 의사에 반해 정신적, 신체적 억압과 함께 강요되는 노동을 뜻한다.

예를 들어 북한 관영매체에 수시로 실리는 학생들의 이른바 작업 자원(自願) 활동은 '자발적 지원'이라는 포장에도 국제사회가 특히 우려하는 아동 강제노동에 해당하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으로 보인다.

유엔, 휴먼라이츠워치(HRW) 등 국제기구와 인권단체는 북한에서 구금시설뿐 아니라 사회 전반에 관행화한 강제노동을 지적하고 있다.

유엔 인권 특별보고관들은 2021년 6월 북한 당국에 보낸 서한에서 "18세 미만 아동들을 대상으로 탄광 같은 유해하고 위험한 환경에서 노동을 시키는 것은 최악의 아동노동 형태이자 국제법이 금지하는 현대판 노예제"라고 비판한 바 있다.

tree@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7.04 08:21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