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원물가 더딘 둔화흐름은 외식 등 경직적 서비스물가 탓"
"최근 서비스소비·고용상황 양호…향후 상방리스크 유의해야"한은 '최근 물가 흐름에 대한 평가' 보고서
박대한
입력 : 2023.06.19 14:00:06
입력 : 2023.06.19 14:00:06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박대한 기자 = 최근 근원물가(core inflation) 상승률이 더디게 떨어지는 것은 높은 외식물가 등 경직적인 서비스물가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과거 물가 둔화기와 달리 최근 서비스소비와 고용상황이 양호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어 근원물가 상승의 경직적 흐름이 예상보다 오래 지속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한국은행 조사국 물가동향팀은 19일 '최근 물가 흐름에 대한 평가'(BOK 이슈노트) 보고서를 통해 최근 소비자물가지수(headline inflation)와 근원물가의 상이한 움직임을 분석했다.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7월 6.3%를 정점으로 올해 5월 3.3%까지 10개월간 3.0%포인트(p) 낮아졌지만, 근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1월 4.3%로 정점을 찍은 이후 지난 5월 3.9%까지 6개월간 0.4%p 둔화하는 데 그쳤다.
과거 물가 둔화기와 비교해서도 최근의 근원물가 둔화 속도는 매우 더딘 편으로, 이는 경직적인 서비스물가 영향 때문으로 분석됐다.
실제 근원상품가격 오름세는 1998년이나 2008년 물가 둔화기에 비해 속도가 크게 다르지 않지만, 근원서비스물가 상승률은 2008년이나 2011년에 비해 매우 느리게 둔화하고 있다.

보고서는 "최근 근원물가 오름세의 경직적 흐름은 양호한 서비스소비 및 노동시장 등이 그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면서 "서비스소비는 2021년 하반기에 팬데믹 이전 수준을 회복한 뒤 최근까지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고 취업자 수도 1998년이나 2008년 물가 둔화기와 달리 증가 흐름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비용인상압력의 2차 파급영향, 근원인플레이션 자체의 높은 지속성 역시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지목됐다.
보고서는 근원인플레이션의 지속성을 추정해본 결과 상품가격보다 서비스물가 지속성이 훨씬 높게 나타났고, 특히 외식물가가 이를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보고서는 "우리나라 근원물가 상승 모멘텀은 미국이나 유로지역과 달리 지난해 하반기 이후 완만하게 축소되는 모습"이라면서도 "향후 경로와 관련해서는 상방리스크가 적지 않은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목표수준(2.0%)을 웃도는 물가 오름세가 상당 기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근원인플레이션의 상방리스크에 유의하면서 물가 여건 변화 및 영향을 주의 깊게 점검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pdhis959@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年5% 수익률에 분리과세”…금리인하 분위기 더 돋보이는 ‘완판 상품’ 또 나왔다
-
2
[게시판] 더벤티, 대학생 서포터즈 '벤티보라 2기' 발대식
-
3
[게시판] 풀무원샘물, 시흥 웨이브파크서 '하이 브리지톡' 팝업
-
4
한투운용도 ETF 수수료 인하…美 지수·코스피·금 등 5종
-
5
신설 제주미래산업고에 '콘크리트 모듈러 공법' 첫 도입
-
6
주택조합 대출연장 알선 뒤 억대 뒷돈…새마을금고 전무 징역형
-
7
광주시 공공기관 여성직원 평균 임금 남성보다 12% 낮아
-
8
[제주형 자율학교] ⑧ "바다가 교실" 해양 탐구하고 수영도 배우는 태흥초
-
9
“수박 배추 닭고기 계란 안오르는 게 없어요”...펄펄 끓는 폭염, 더 뜨거운 식탁물가
-
10
삼성전자, 더현대 서울에 갤럭시 Z 폴드7·플립7 체험 공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