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1월 진드기 매개 감염병 집중…"농작업시 주의하세요"
치명률 높은 SFTS 올해 19명 발생, 4명 사망…예방수칙 중요
김영신
입력 : 2023.06.20 12:00:19
입력 : 2023.06.20 12:00:19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김영신 기자 = 질병관리청과 농촌진흥청은 진드기 매개 감염병 환자가 많이 발생하는 이달부터 11월까지 진드기 물림에 주의하고 예방수칙을 지켜달라고 20일 밝혔다.
국내에서 주로 발생하는 진드기 매개 감염병은 '쓰쓰가무시증'과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SFTS)'이다.
쓰쓰가무시증은 10∼11월, SFTS는 6∼10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최근 3년간 쓰쓰가무시증은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고, SFTS는 2021년 감소했다가 지난해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SFTS는 올해 환자 19명이 발생했고, 이중 4명이 사망(13일 기준)할 정도로 높은 치명률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기준으로 쓰쓰가무시증은 53.1%, SFTS는 50.8%가 농작업 중 진드기에게 물려 감염된 사례인 것으로 확인됐다.
주요한 감염 위험 요인이 농작업인 만큼 농작업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

[질병관리청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농작업 때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도록 긴 소매와 긴 바지 작업복을 입고 장갑·장화 등을 착용한다.
소매는 단단히 여미고 바지는 양말 안으로 넣어 진드기가 옷 속에 들어오지 못하게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진드기가 옷에 달라붙었을 때 바로 알아차릴 수 있도록 밝은 색의 옷을 입도록 하며, 농작업 중 풀 위에 앉을 때 방석이나 돗자리를 사용한다.
보조적으로 진드기 기피제를 약 4시간마다 옷과 노출된 피부에 뿌려주면 물림 예방에 도움이 된다.
농작업 후에는 작업복을 충분히 털어내고 바로 세탁해야 하며, 몸을 씻으면서 벌레에 물린 상처나 붙은 진드기가 있는지 꼼꼼히 확인한다.
만약 몸에 진드기가 붙어있는데 손으로 터뜨리거나 무리해서 떼어내려 하면 진드기 혈액에 의한 추가 감염 우려가 있으므로, 가까운 보건소나 의료기관에 방문해 제거한다.

[질병관리청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질병관리청은 백신과 치료제가 없는 SFTS 예방·관리 대응을 위해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달 발표한 '신종 감염병 대유행 대비 중장기 계획'에 SFTS를 백신개발 우선순위 감염병으로 포함했으며, 백신 개발을 위해 지난해 7월 미국 모더나사와 공동 연구협력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shiny@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해수부 2차추경 876억원…국가 어항사업·고수온 대응
-
2
농식품부 2차추경 2천934억원…콩비축·수출지원에 증액
-
3
'상호관세 8월발효·세율↑' 거론한 트럼프…韓美 막판협상 주목
-
4
내수진작 총력전…非수도권엔 소비쿠폰 3만원 더준다
-
5
2차 추경으로 AI 분야 1천800억원 투자…"AI 대전환 지원"
-
6
"美 양호한 고용은 착시…민간 고용은 8개월 만에 최소"
-
7
“5만원 더 들어온다고요?”…전국민에 주는 소비쿠폰, 추가 금액주는 지역은
-
8
中, EU 브랜디에 보복관세…"EU, 전기차 분쟁 해결 의지 보여야"(종합2보)
-
9
파리 센강 수영장 개장에 유람선·화물 운송업체 타격
-
10
與, 추경 처리에 "망가진 경제에 활력 기원…골든타임 지킬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