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화석연료 사용비중 82%…기후변화 충격에도 증가세
중국·인도는 석탄 고집…온실가스 배출량 작년 0.8% 증가"기록적 홍수·폭염 등 최악 재난 속 '에너지 전환' 기대미달"
이지헌
입력 : 2023.06.27 08:00:09 I 수정 : 2023.06.27 08:14:18
입력 : 2023.06.27 08:00:09 I 수정 : 2023.06.27 08:14:18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이지헌 기자 =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이 지속해서 이뤄지고는 있지만 화석연료의 사용 비중이 여전히 전 세계 에너지 사용량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현지시간) 미국 CNN 방송에 따르면 에너지연구소는 컨설팅업체 KPMG 및 커니와 함께 발간한 '세계 에너지 통계 리뷰' 보고서에서 지난해 세계 에너지 소비량이 전년 대비 1% 증가했다고 밝혔다.
석유, 석탄, 가스 등 화석연료 소비량이 전체 에너지 소비량의 82%를 차지하며 에너지 사용 증가를 견인했다.
특히 오염물질을 가장 많이 배출하는 석탄은 중국과 인도 수요 지속 탓에 지난해에도 소비량이 전년 대비 0.6% 늘었다.
글로벌 석탄 생산량은 전년 대비 7%나 증가했다.
화석연료가 계속 지배적인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면서 에너지 부문에서 발생한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년 대비 0.8% 늘며 증가세를 지속했다.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재판매 및 DB 금지]
반면 풍력과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수력 제외) 사용 비중은 세계 에너지 소비량의 7.5%를 차지하는 데 그쳤다.
태양광 발전이 전년 대비 25%, 풍력 발전이 전년 대비 13.5% 증가해 두 자릿수대 증가율을 나타냈지만 여전히 화석연료는 대체하기에는 부족했다.
에너지연구소의 줄리엣 데이븐포트 회장은 "우리가 여전히 파리기후협약이 요구한 것과 반대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파키스탄의 파괴적 홍수, 유럽·북미의 기록적 폭염 등 세계가 기후변화로 인한 최악의 충격을 지난해 경험해야 했지만 이번 보고서에서 에너지 전환에 관해 긍정적 소식을 찾기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국제사회는 2015년 파리기후협약으로 지구 표면온도의 상승폭을 산업화 전 대비 섭씨 1.5도 이하로 제한하기로 목표를 설정한 바 있다.
유엔은 2018년 보고서에서 1.5도 목표를 달성하려면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0년 대비 45% 줄여야 한다고 발표했다.
pan@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카카오페이증권 “6월 국내외 증시 모두 상승세”
-
2
대덕전자(353200) 소폭 상승세 +3.03%
-
3
HBM 재고 얼마나 되길래...반토막 난 삼성전자 실적, 발목 잡은 것은
-
4
뉴엔AI(463020) 상승폭 확대 +8.35%
-
5
삼성액티브운용, KoAct K수출핵심기업TOP30 상장
-
6
정치테마주 된 테슬라...머스크 창당에 6.79% 급락
-
7
이제 ‘디지털 금’ 아니다? 비트코인, 금과 탈동조화 뚜렷…트럼프 관세 영향에 10만8000달러선 이탈
-
8
삼전·엘전 ‘어닝쇼크’에 주가 반락
-
9
파마리서치, 인적분할 철회 결정에 주가 오름세
-
10
알에프바이오, PN필러 임상 돌입… 화장품 유럽 진출도 가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