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 기술 연구 적기…한국 반도체 공정기술 큰 도움 줄 것"

조승한

입력 : 2023.06.27 20:59:36


양자과학기술 석학들이 함께 한 기자간담회
(서울=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27일 오후 2023 퀀텀 코리아 행사가 열리고 있는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 아트홀에서 양자과학기술 석학들이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왼쪽부터 김정상 미국 듀크대 교수 겸 아이온큐 CTO, 존 마르티니스 미국 UC샌타바바라 대학 교수, 찰스 베넷 IBM연구소 연구위원, 김명식 영국 임페리얼대 교수.2023.6.27 superdoo82@yna.co.kr

(서울=연합뉴스) 조승한 기자 = "지금이 양자 기술을 연구할 적기다.

한국의 반도체 공정 같은 기술이 큰 도움을 줄 것이다." 27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양자석학 기자간담회에 참가한 양자 분야 석학들은 양자 기술 분야에 다양한 기회가 열리고 있다며 한국이 잘 할 수 있는 분야를 찾고 집중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국내 양자 분야 최대 행사인 '퀀텀코리아 2023'을 계기로 열린 이날 간담회에는 세계 최초로 양자 암호와 양자 원격전송을 발명한 찰스 베넷 IBM 연구소 연구위원과 구글과 함께 슈퍼컴퓨터가 기존 컴퓨터를 뛰어넘을 수 있다는 '양자 우월성'을 발표한 존 마르티니스 미국 샌타바버라 캘리포니아대 교수, 이온덫 방식 양자컴퓨터 스타트업 '아이온큐'를 창업한 김정상 미국 듀크대 교수, 김명식 임페리얼칼리지런던 교수가 참여했다.

기자간담회 참석한 존 마르티니스 교수
(서울=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27일 오후 2023 퀀텀 코리아 행사가 열리고 있는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 아트홀에서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존 마르티니스 미국 UC샌타바바라 대학 교수가 발언하고 있다.2023.6.27 superdoo82@yna.co.kr

마르티니스 교수는 "미국은 양자컴퓨터와 관련해 초창기 다양한 펀딩이 있어 1980년대부터 연구할 수 있었고, 2000년대 정말 많은 자금이 투입되는 등 운이 좋았다"며 "한국도 시간이 좀 걸리긴 하겠지만 노력하는 게 의미가 있다"고 조언했다.

그는 한국이 반도체 기술, 인력 등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며 양자 분야에서도 빠른 발전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마르티니스 교수는 "점차 구축하는 양자컴퓨터가 커지고 제어 시스템이 필요해지게 된다"며 "한국은 관련 기술이 좋기 때문에 실제 기여할 여지가 많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기자간담회 참석한 찰스 베넷 박사
(서울=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27일 오후 2023 퀀텀 코리아 행사가 열리고 있는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 아트홀에서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찰스 베넷 IBM연구소 연구위원이 발언하고 있다.2023.6.27 superdoo82@yna.co.kr

베넷 연구위원은 양자암호와 같은 특화 분야에 집중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그는 "양자암호는 저렴하면서도 여러 분야에 쓰일 수 있다"며 "양자컴퓨터보다 실제 적용이나 응용은 덜 매력적이지만 활용하기 충분할 만큼 저렴하단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이날 정부가 발표한 한국의 양자과학기술 전략과 관련해 석학들은 인력 양성 부분 등을 높게 평가하면서도 더욱 도전적인 목표를 세울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양자과학기술 석학들이 함께 한 기자간담회
(서울=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27일 오후 2023 퀀텀 코리아 행사가 열리고 있는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 아트홀에서 양자과학기술 석학들이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왼쪽부터 김정상 미국 듀크대 교수 겸 아이온큐 CTO, 존 마르티니스 미국 UC샌타바바라 대학 교수, 찰스 베넷 IBM연구소 연구위원, 김명식 영국 임페리얼대 교수.2023.6.27 superdoo82@yna.co.kr

김정상 교수는 "한국이 양자 R&D 출발이 늦었는데, 차세대 양자컴퓨터에서는 앞서나갈 전략이 뭔지를 고민하면 좋겠다"며 "젊은 연구자들이 진취적 생각을 가지고 남들이 하지 않는 방식으로 도전하고, 이를 정부가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명식 교수는 "우린 작은 나라기 때문에 다 잘할 수 없다.

여러 분야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며 "여러 군데를 살피며 무엇을 잘할 수 있을지, 학문적 돌파구를 만들 수 있을지를 모니터링하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shjo@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7.09 03:03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