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려지는 전기차 배터리로 비닐하우스 정전 피해 막는다
제주도, 사용 후 배터리→소형 ESS로 활용 시연
고성식
입력 : 2023.06.29 15:00:04
입력 : 2023.06.29 15:00:04
(제주=연합뉴스) 고성식 기자 = 장기간 사용 후 수명을 다해 버려지는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가 농작물 재배 시설의 정전 피해를 막는 소형 에너지저장장치(ESS)로 변신했다.

전기차 배터리
[연합뉴스 자료 사진]
제주도는 29일 서귀포농업기술센터에서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를 활용한 소형 ESS 구축·운영 사례를 선보이는 시연회를 열었다.
시연회에서는 전치가 사용 후 배터리를 활용한 ESS, 농업용 운반차 등 다양한 제품이 소개됐다.
새로 선보인 비닐하우스 정전 대비 소형 ESS는 배터리 셀 10개 조합 5세트, 충전·방전 제어 컨버터, 소화기 등으로 구성됐다.
시설재배 농경지에서는 태풍 등으로 갑작스럽게 전기 공급이 끊기면 비닐하우스 등의 환풍기 작동이 중단돼 농작물이 큰 피해를 볼 수 있다.
도는 비닐하우스 내에 사용 후 배터리를 활용한 소규모 ESS가 비상 전기 공급 장치 역할을 해 갑작스러운 정전에도 기기 작동 중단없이 전력을 지속해 공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도는 2019년부터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를 활용해 농업 현장 제품 개발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김창세 제주도 혁신산업국장은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를 순환자원으로 활용해 자원순환 시대를 이끄는 신산업으로 적극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koss@yna.co.kr(끝)

[연합뉴스 자료 사진]
제주도는 29일 서귀포농업기술센터에서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를 활용한 소형 ESS 구축·운영 사례를 선보이는 시연회를 열었다.
시연회에서는 전치가 사용 후 배터리를 활용한 ESS, 농업용 운반차 등 다양한 제품이 소개됐다.
새로 선보인 비닐하우스 정전 대비 소형 ESS는 배터리 셀 10개 조합 5세트, 충전·방전 제어 컨버터, 소화기 등으로 구성됐다.
시설재배 농경지에서는 태풍 등으로 갑작스럽게 전기 공급이 끊기면 비닐하우스 등의 환풍기 작동이 중단돼 농작물이 큰 피해를 볼 수 있다.
도는 비닐하우스 내에 사용 후 배터리를 활용한 소규모 ESS가 비상 전기 공급 장치 역할을 해 갑작스러운 정전에도 기기 작동 중단없이 전력을 지속해 공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도는 2019년부터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를 활용해 농업 현장 제품 개발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김창세 제주도 혁신산업국장은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를 순환자원으로 활용해 자원순환 시대를 이끄는 신산업으로 적극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koss@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