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中∼유럽 화물열차 운송량, 작년 동기대비 30% 급증
우크라이나 사태 소강 국면·러시아와 교역 확대 영향
박종국
입력 : 2023.07.07 17:11:25
입력 : 2023.07.07 17:11:25
(선양=연합뉴스) 박종국 특파원 = 올해 상반기 중국∼유럽 국제 화물열차 운송량이 30%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한에서 출발하는 중국∼유럽 화물열차
[장강일보 캡처.재판매 및 DB 금지]
7일 중국 국가철도그룹 발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중∼유럽 화물열차는 8천641회 운행해 93만6천 컨테이너를 운송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상반기 대비 운행 횟수는 16%, 운송량은 30% 증가한 것이다.
중국에서 유럽으로 운송한 물량은 49만9천 컨테이너로 16% 늘었고, 유럽에서 중국으로 들여온 물량은 43만7천 컨테이너로 31% 증가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직전인 2021년 하반기와 비교해도 운행 횟수는 10%, 운송량은 22.7% 늘었다.
2011년 운행 개시 이후 중∼유럽 화물열차의 누적 운행 횟수는 7만3천회, 운송량은 690만 컨테이너를 기록했다.
우크라이나 사태가 소강상태를 보이면서 중∼유럽 화물열차 운행이 안정화된 데다 중국과 러시아의 경제 협력 및 교역 확대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중∼유럽 화물열차는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확산, 항공과 선박 운항이 차질을 빚었던 2021년 운행 횟수는 1만5천158회, 운송량은 146만4천 컨테이너에 달해 전년보다 각각 22%, 29% 급증했다.
지난해 2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중∼유럽 화물열차를 경유하는 국가들의 정세 불안과 서방의 러시아 제재로 운행 차질이 예상됐던 작년에도 오히려 운행 횟수와 운송량이 전년보다 각각 9%, 10% 증가했다.
이는 항공이나 선박과 비교해 운송비가 저렴하고, 콜드체인 열차 도입 등으로 운송 품목이 확대된 데다 중국 내 운행 도시가 늘어나면서 운송 수요가 늘었기 때문으로 현지 매체는 분석했다.
중∼유럽 화물열차는 중국의 거대 경제권 구상인 일대일로(一帶一路:중국-중앙아시아-유럽을 연결하는 육상·해상 실크로드)의 대표적인 육상 통로로, 중국과 유럽 25개국 216개 도시를 연결한다.
신장 아라산커우·훠얼궈쓰~카자흐스탄~우크라이나를 경유하는 서부 노선과 네이멍구 얼롄하오터∼러시아를 지나는 중부 노선, 네이멍구 만저우리·헤이룽장 쑤이펀허∼러시아를 거치는 동부 노선 등 3개 노선이 있다.
pjk@yna.co.kr(끝)

[장강일보 캡처.재판매 및 DB 금지]
7일 중국 국가철도그룹 발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중∼유럽 화물열차는 8천641회 운행해 93만6천 컨테이너를 운송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상반기 대비 운행 횟수는 16%, 운송량은 30% 증가한 것이다.
중국에서 유럽으로 운송한 물량은 49만9천 컨테이너로 16% 늘었고, 유럽에서 중국으로 들여온 물량은 43만7천 컨테이너로 31% 증가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직전인 2021년 하반기와 비교해도 운행 횟수는 10%, 운송량은 22.7% 늘었다.
2011년 운행 개시 이후 중∼유럽 화물열차의 누적 운행 횟수는 7만3천회, 운송량은 690만 컨테이너를 기록했다.
우크라이나 사태가 소강상태를 보이면서 중∼유럽 화물열차 운행이 안정화된 데다 중국과 러시아의 경제 협력 및 교역 확대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중∼유럽 화물열차는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확산, 항공과 선박 운항이 차질을 빚었던 2021년 운행 횟수는 1만5천158회, 운송량은 146만4천 컨테이너에 달해 전년보다 각각 22%, 29% 급증했다.
지난해 2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중∼유럽 화물열차를 경유하는 국가들의 정세 불안과 서방의 러시아 제재로 운행 차질이 예상됐던 작년에도 오히려 운행 횟수와 운송량이 전년보다 각각 9%, 10% 증가했다.
이는 항공이나 선박과 비교해 운송비가 저렴하고, 콜드체인 열차 도입 등으로 운송 품목이 확대된 데다 중국 내 운행 도시가 늘어나면서 운송 수요가 늘었기 때문으로 현지 매체는 분석했다.
중∼유럽 화물열차는 중국의 거대 경제권 구상인 일대일로(一帶一路:중국-중앙아시아-유럽을 연결하는 육상·해상 실크로드)의 대표적인 육상 통로로, 중국과 유럽 25개국 216개 도시를 연결한다.
신장 아라산커우·훠얼궈쓰~카자흐스탄~우크라이나를 경유하는 서부 노선과 네이멍구 얼롄하오터∼러시아를 지나는 중부 노선, 네이멍구 만저우리·헤이룽장 쑤이펀허∼러시아를 거치는 동부 노선 등 3개 노선이 있다.
pjk@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트럼프 "50일내 우크라戰 휴전 합의 없으면 러에 혹독한 관세"(종합)
-
2
'AI 올인' 저커버그 "기가와트급 데이터센터 여러 개 건설 중"
-
3
주미경제공사 "美와 호혜적 합의 위해 2주간 무역협상에 속도"
-
4
머스크의 xAI, 정부 기관용 AI 서비스 출시…"국방부와 계약"
-
5
달러-원, 트럼프 관세 위협 속 오름폭 약간 확대…1,383원 마감
-
6
'푸틴에 실망' 트럼프, 러에 "50일 시한"…2차 관세로 中도 겨냥
-
7
트럼프 "50일내 우크라戰 합의 없으면 러에 혹독한 관세"(종합2보)
-
8
브라질 '항전 준비'·멕시코 '협상 총력'…對美 관세전략 승자는
-
9
비트코인, 12만3천달러선 첫 돌파 후 하락…12만달러선 등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