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요약(4) - 특징 종목(코스피)
입력 : 2023.07.17 17:11:35
제목 : 증시요약(4) - 특징 종목(코스피)
특징종목 | 이슈요약 |
에쓰씨엔지니어링 (023960) 2,145원 (+29.84%) | 자회사 셀론텍, 관절연골 재생치료 신제품 '카티씰' 출시 소식에 상한가 |
▷동사는 자회사인 셀론텍은 언론을 통해 관절연골 재생치료에 사용되는 신제품 ‘카티씰(CartiSeal)’을 출시했다고 밝힘. 카티씰은 바이오콜라겐(미국 식품의약국(FDA) 원료의약품집(DMF) 등재 의료용 콜라겐)을 원료로 관절연골 형성을 도모하는 다공성 스펀지형태의 '이식형조직재생용지지체'임. ▷이와 관련 셀론텍 관계자는 "콜라겐을 이용한 이식형조직재생용지지체가 그동안 수입에 의존됐던 만큼 기술력, 제품력에 가격 경쟁력까지 더한 카티씰이 유망한 국산 대체재가 될 수 있을 것"이라며, "향후에도 독자적인 바이오콜라겐 및 세포치료제 기반 재생의료기술 노하우를 통해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할 수 있는 다양한 제품군을 선보일 계획"이라고 밝힘. | |
이 구산업 (025820) 5,330원 (+17.92%) | 구리 가격 10배 상승 가능성 소식 속 수혜주로 부각되며 급등 |
▷언론에 따르면, 구리가 탈(脫) 탄소 시대의 ‘새로운 석유’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구리 공급 부족의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캐나다 광산업체 아이반호마인스의 설립자 겸 회장인 로버트 프리들랜드는 지난달 블룸버그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탈 탄소 정책, 중국의 지속적인 수요, 인도의 부상,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세계 재무장 등은 구리 가격의 장기 상승 요인이라며, 구리 가격이 10배 뛸 수도 있다”고 우려한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 구리 가공업체인 동사가 시장에서 부각. | |
웰바이오텍 (010600) 3,870원 (+15.18%) | 中 리튬 제련 공장과 가공 협력각서 체결 소식에 급등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중국 리튬 제련공장 산동서복리듐 유한공사 외 1곳과 스포듀민(고순도 리튬을 함유한 원석) 가공에 관한 협력각서(MOC)를 체결했다고 밝힘. 동사는 짐바브웨에서 확보한 스포듀민 전량을 중국 제련 공장에서 탄산리튬 및 수산화리튬으로 가공해 이를 국내에 공급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리튬을 비롯한 배터리 소재 핵심광물 공급망 내재화는 현재 전 세계적인 화두로서, 국내에서도 주요 배터리 업체들을 중심으로 제련 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분위기"라며, "국내 상황을 고려해 발빠른 리튬 공급에 나설 것"이라고 밝힘. | |
대우건설 (047040) 4,695원 (+9.82%) | 폴란드건설협회·이알버드와 MOU 체결 소식에 급등 |
▷윤석열 대통령의 폴란드 방문 시 경제사절 단으로 참여한 동사는 언론을 통해 지난 14일(현지시간)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폴란드건설협회, 현지 3위 건설기업인 이알버드(ERBUD)와 협력관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폴란드 현지 건설기업들과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게 됐으며, 이들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현재 진행 중인 원전 사업 외에도 에너지, 인프라 등 다양한 사업 분야에서의 사업 추진이 가능하게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
POSCO홀딩스 (005490) 478,000원 (+6.94%) | 리튬 등 생산 능력 확대 기대감 등에 강세 |
▷유진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7월11일 이차전지 소재 Value Day에서 리튬, 니켈, 양극재, 음극재의 2030년까지의 CAPA 계획(리튬 42.3만톤, 니켈 24만톤, 양극재 100만톤, 음극재 37만톤으로 작년 대비 모든 분야에서 생산능력 계획 확장)을 발표했다고 밝힘. 당사 추정에 의하면 직전 대비 리튬 사업부문 EBITDA를 2030년 기준으로 6.5조원에서 7.7조원으로 상향시키는 요인이라고 밝힘. ▷아울러 철강재 평균 판매단가(ASP)의 소폭 하락(-6천원/톤)과 투입단가의 상승(+4.9만원/톤)에도 불구하고, 탄소강 판매량이 64.2만톤 증가하여 고정비가 전분기대비 600억 이상 개선되어 사업회사 포스코의 2분기 영업이익이 7,63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440,000원 -> 500,000원[상향] | |
삼성전기 (009150) 158,000원 (+5.12%) | 전장용 파워인덕터 첫 양산 소식 등에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자율주행 시스템이 적용된 전기차 카메라에 탑재되는 파워인덕터를 양산한다고 밝힘. '제2의 MLCC'라 불리는 파워인덕터는 전원 회로에 적용되어 배터리로부터 오는 전력(파워)을 반도체가 필요로 하는 전력으로 변환시키고 전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핵심 전자부품으로, 자동차에 한 대에 필요한 파워인덕터는 100여개가 넘어 스마트폰 대비 2배 이상 쓰이는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장덕현 삼성전기 사장은 "파워인덕터는 자율주행 및 전기차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고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동사는 소재와 기판 등 기술 융복합을 통한 차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파워인덕터를 '제2의 MLCC'로 육성할 방침"이라고 언급. ▷DS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예상 실적은 매출액 2.08조원(+2.9% QoQ, -15.3% YoY), 영업이익 1,936억원(+38.2% QoQ, -46.2% YoY)으로 컨센서스를 부합하는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하반기로 갈수록 전장용 MLCC와 고부가 패키지 기판이 중요해질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이를 통해 실적 기여도 확대와 이익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70,000원 -> 210,000원[상향] | |
코스맥스 (192820) 96,000원 (+4.92%) | 2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전망 등에 상승 |
▷미래에셋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매출액 4,564억원(YoY +13%), 영업이익 334억원(YoY +94%)로 시장 기대치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 전 지역에서 매출과 이익의 동반 성장이 예상되는 가운데, 전년 동기 상해 락다운으로 부진했던 중국과 턴어라운드 원년을 목표하고 있는 미국의 증익이 특히 두드러질 것으로 전망. ▷구조적인 개선이 기대되는 지역은 미국으로, 체질 개선 효과와 더불어 인디브랜드 향으로 매출 회복이 예상보다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고 밝힘. YoY는 물론 QoQ로도 유의미하게 적자를 줄여가며 본격적인 턴어라운드 궤도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 미국은 매년 5~800억원의 대규모 순적자를 내왔기에 미국 개선은 가장 중요한 실적 모멘텀이라며, 금번 실적으로 처음 턴어라운드 강도를 증명할 예정으로 이에 따라 추정치 방향성도 결정될 것이라고 분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20,000원[유지] | |
현대건설 (000720) 39,000원 (+4.00%) | 우크라이나 보리스필 국제공항 현대화 사업 MOU 체결 소식 등에 상승 |
▷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 관한 공식 수주 성과가 발생했다고 밝힘. 지난 7월14일, 지난주 대통령의 폴란드 순방 일정에 경제사절단으로 동행한 동사가 우크라이나 키이우 소재 Boryspil(이하 보리스필) 국제공항 확장 및 현대화 사업에 관해 공항공사와 MOU를 체결했다는 보도를 확인했으며, 협상 끝에 투자 기금 조성과 기술적인 경험도가 높은 동사와 사업을 추진하기로 결정했고, 이번 순방 일정에 맞춰 MOU 체결식 진행하며 공식화했다고 설명. ▷이에 대해 이번 공항 재건 사업 또한 전쟁으로 피해 입은 시설의 재건이 아닌 기존 항공 인프라의 현대화 사업이며, 단발성 이벤트가 아닌 지속적으로 생겨날 해외 수주 재료로 주택 사업 기대감이 한 풀 꺾인 현재, 건설사 역량을 재확인할 수 있는 계기로 판단.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48,000원[유지] | |
KCC (002380) 224,000원 (+3.70%) | 하반기 실리콘 업황 개선 기대감 등에 상승 |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상반기를 저점으로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실리콘 업황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 또한, 2023년 기준 PBR 0.3배로 역사적 하단 수준의 밸류에이션이며 삼성물산/HD한국조선 등의 지분가치 약 2.3조원 및 모멘티브 상장 가치 등을 감안 시 과도한 저평가 상태라고 분석. ▷한편, 2Q23 영업이익은 775억원(QoQ +2%, YoY -53%)으로 컨센서스를 26% 하회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80,000원[유지] | |
아세아시멘트 (183190) 9,740원 (+3.62%) | 5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에 상승 |
▷5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23-07-17~2024-01-16, NH투자증권(NH INVESTMENT & SECURITIES CO., LTD.)) 공시. | |
SK디앤디 (210980) 22,400원 (+3.23%) | 재생에너지 사업 가속화 기대감 등에 상승 |
▷지난 14일 삼성증권은 동사에 대해 최근 한화솔루션과 수소연료전지 발전과 태양광 발전 사업 추진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며, 한화솔루션은 발전용 부지 확보와 인허가를, 동사는 연료전지 주기기 공급과 O&M(운영/관리)를 수행할 계획이라고 밝힘. ▷동사는 부동산에서 재생에너지 개발로 수평적 확장 중에 있다며, 국내 top-tier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로 도약하기 위해 2022년 미국의 글렌몬트사와 협력해 태양광 발전 사이트들을 매입하며 보유 발전원을 늘려 왔다고 밝힘. 이번에는 한화솔루션과 협력함으로써 개화기인 국내 연료전지 발전 시장을 빠르게 선점할 계획이라고 언급. ▷또한, 정부는 6월, 세계 최초의 수소발전 입찰시장을 개설했다며, 이는 기존의 RPS 제도 대비 연료전지 발전 수요를 촉진할 수 있어 공급자들은 사업 가속화의 수혜를 누릴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30,000원[유지] | |
하이브 (352820) 264,500원 (+3.12%) | 상반기 음반 판매량 2,200만장 돌파 소식에 상승 |
▷전일 언론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내에서 판매된 음반 중 40% 이상이 동사 소속 가수의 음반인 것으로 전해짐. 써클차트 집계 결과에 따르면 올 상반기 전체 앨범 판매량 5,500여 만 장 가운데 동사 산하 레이블 소속 아티스트의 음반이 2,200만 장으로 40.4%를 차지했음. 지난해 1년간 동사의 앨범 판매량은 2,070만장이었으며, 이를 6개월만에 뛰어넘은 것으로 알려짐. | |
세아제강 (306200) 153,500원 (+2.06%) | 2분기 호실적 전망 및 저평가 분석 등에 소폭 상승 |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5,249억원(YoY +9.2%, QoQ +7.1%)과 745억원(YoY +9.2%, QoQ -5.1%)을 기록할 것이라며, 영업이익은 당사 기존 추정치 645억원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 견조한 탄소강관 수출과 더불어 스테인리스 강관 판매 회복 영향으로 전체 강관 판매량이 25.9만톤(YoY +19.9%, QoQ +6.6%)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상반기 영업이익이 당사 기존 추정치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되어 올해 연간 실적 추정치를 상향했다고 언급. 그에 반해,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영업실적 Peak Out에 대한 우려가 주가 상승 제약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현재 주가는 PER 2배, PBR 0.4배에 불과해 올해 예상 ROE 22.7% 감안 시, 과도하게 저평가되었다고 판단.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50,000원[유지] | |
삼성중공업 (010140) 8,470원 (+1.93%) | 3.95조원 규모 컨테이너선 16척 수주에 소폭 상승 |
▷아시아 지역 선주와 3.95조원(최근 매출액대비 66.6%) 규모 공급계약(컨테이너선 16척) 체결(계약기간:2023-07-14~2027-12-31) 공시. |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7.04 15:30
에쓰씨엔지니어링 | 1,307 | 1 | -0.08%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