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관광객, 日서 루이비통 구매 열기…"코로나 이전 수준 회복"
상반기 日 매출 증가율, 전세계 최고…"中관광객 구매 확대 영향"
박종국
입력 : 2023.07.28 11:53:41
입력 : 2023.07.28 11:53:41
(선양=연합뉴스) 박종국 특파원 = 중국 관광객들의 구매력에 힘입어 프랑스 명품그룹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의 올해 상반기 일본 내 매출이 크게 늘었다고 계면신문 등 중국 매체가 28일 보도했다.

LVMH의 중국 매장
[계면신문 캡처.재판매 및 DB 금지]
LVMH가 최근 발표한 올해 상반기 실적 보고에 따르면 일본 내 매출은 작년 동기 대비 31% 증가해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시장의 매출 증가율 23%를 웃돌았다.
일본 시장 매출 증가율은 LVMH의 전체 매출 증가율이나 미국 시장 매출 증가율과 비교해서도 훨씬 양호했다.
LVMH의 올해 상반기 전체 매출은 422억4천만유로(약 59조5천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했다.
이중 미국 매출 증가율은 3%에 그쳤고, 유럽 매출도 22% 증가하는 데 그쳐 일본 시장 매출 증가율에 못 미쳤다.
LVMH는 일본 매출이 다른 국가들 매출보다 양호했던 것은 일본 방문 중국 관광객들의 구매 확대 때문으로 분석했다.
LVMH는 "중국은 아시아 시장 성장을 추동하는 핵심"이라며 "중국 관광객들의 해외 소비가 회복되기 시작했다"고 분석했다.
이어 "유럽에서는 아직 중국 관광객들의 소비가 코로나19 발생 이전 수준으로 완전히 회복하지 않았지만, 일본에서는 코로나19 발생 이전 수준에 근접했다"고 설명했다.
LVMH는 올해 상반기 중국의 매출 상황은 공개하지 않았다.
한편 일본 백화점협회는 6월 일본 백화점들의 면세점 매출이 약 280억엔(약 2천58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4.2배 급증했으며 중국 관광객들의 귀환으로 화장품과 고급 브랜드 상품 매출이 늘어났다고 밝혔다고 계면신문이 전했다.
중국 명품시장 전문 조사기관인 야오커연구원이 발표한 '2022 중국 명품 보고'에 따르면 작년 중국인들의 명품 구매액은 9천560억위안(약 171조원)으로, 전 세계 명품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인 38%를 차지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엄격한 방역 통제 정책인 '제로 코로나'를 시행하며 국경을 봉쇄하고 자국인들의 해외여행을 엄격히 규제했던 중국은 작년 말 방역을 완화하고, 올해 1월 '위드 코로나'로 전환하며 국경을 개방했다.
이어 태국과 라오스,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60개국에 대해서는 자국인들의 해외 단체관광을 허용했으나 한국과 일본, 미국은 대상 국가에서 제외했다.
pjk@yna.co.kr(끝)

[계면신문 캡처.재판매 및 DB 금지]
LVMH가 최근 발표한 올해 상반기 실적 보고에 따르면 일본 내 매출은 작년 동기 대비 31% 증가해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시장의 매출 증가율 23%를 웃돌았다.
일본 시장 매출 증가율은 LVMH의 전체 매출 증가율이나 미국 시장 매출 증가율과 비교해서도 훨씬 양호했다.
LVMH의 올해 상반기 전체 매출은 422억4천만유로(약 59조5천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했다.
이중 미국 매출 증가율은 3%에 그쳤고, 유럽 매출도 22% 증가하는 데 그쳐 일본 시장 매출 증가율에 못 미쳤다.
LVMH는 일본 매출이 다른 국가들 매출보다 양호했던 것은 일본 방문 중국 관광객들의 구매 확대 때문으로 분석했다.
LVMH는 "중국은 아시아 시장 성장을 추동하는 핵심"이라며 "중국 관광객들의 해외 소비가 회복되기 시작했다"고 분석했다.
이어 "유럽에서는 아직 중국 관광객들의 소비가 코로나19 발생 이전 수준으로 완전히 회복하지 않았지만, 일본에서는 코로나19 발생 이전 수준에 근접했다"고 설명했다.
LVMH는 올해 상반기 중국의 매출 상황은 공개하지 않았다.
한편 일본 백화점협회는 6월 일본 백화점들의 면세점 매출이 약 280억엔(약 2천58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4.2배 급증했으며 중국 관광객들의 귀환으로 화장품과 고급 브랜드 상품 매출이 늘어났다고 밝혔다고 계면신문이 전했다.
중국 명품시장 전문 조사기관인 야오커연구원이 발표한 '2022 중국 명품 보고'에 따르면 작년 중국인들의 명품 구매액은 9천560억위안(약 171조원)으로, 전 세계 명품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인 38%를 차지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엄격한 방역 통제 정책인 '제로 코로나'를 시행하며 국경을 봉쇄하고 자국인들의 해외여행을 엄격히 규제했던 중국은 작년 말 방역을 완화하고, 올해 1월 '위드 코로나'로 전환하며 국경을 개방했다.
이어 태국과 라오스,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60개국에 대해서는 자국인들의 해외 단체관광을 허용했으나 한국과 일본, 미국은 대상 국가에서 제외했다.
pjk@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대성파인텍과 합병 압둔 모노리스…“제주 중력 레이싱카 이용객 250만 돌파”
-
2
흥국에프엔비, 100억원 규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
-
3
‘스드메값’ 강남 3336만원 VS 경상도 1153만원…가격 숨기면 과태료 1억 물린다
-
4
에프엔에스테크, ASAHI LAMP CO., LTD.(대만) 주식 취득 결정
-
5
원/달러 환율 : 1,390.9원(▲1.8원)
-
6
신흥, 최대주주등 소유주식수 4,573주 감소
-
7
프로티나, 코스닥 상장 첫날 20%대 상승 마감
-
8
K-OTC 상승률/하락률 상위 10종목
-
9
마녀공장 인수한 케이엘앤파트너스 “맘스터치 성공방정식 이식”
-
10
韓 대형주 비중 축소…서학개미도 美 대형주 줄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