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정밀 위치 인식 기술로 IoT기기·로봇 미세 움직임 조종'
KAIST, 160m 거리서 7㎜ 정확도…확 장현실·지능형 공장서 활용
김준호
입력 : 2023.08.08 11:36:36
입력 : 2023.08.08 11:36:36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연합뉴스) 김준호 기자 = 사물인터넷(IoT) 기기와 로봇의 미세한 움직임을 조종할 수 있는 초정밀 위치 인식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이 기술은 가상 세계에서 현실과 연결하는 초실감형 확장현실(XR)이나 초정밀 스마트팩토리(지능형 공장) 등에서 활용될 수 있을 전망이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김성민 교수 연구팀은 무전원 태그를 통해 160m 거리에서 7㎜(5m에서는 0.35㎜)의 정확도와 1천개 이상의 위치를 동시 인식할 수 있는 초정밀·대규모 사물인터넷(IoT) 위치인식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무선 태그는 그 신호가 방해 신호와 주파수 영역에서 완전히 분리돼 신호 질을 100만 배 이상 향상시켜 초정밀 위치 인식이 가능하다.
이 기술을 접목하면 XR에서 다량 사물인터넷을 손가락의 미세한 움직임만으로 쉽게 제어할 수 있고, 몰입감을 높일 수 있다.
또 1천개 이상 태그를 0.5초 이하에 동시 인식할 수 있어 수많은 기기를 실시간 조작할 수 있다.
최신 실내 측위 기술인 차세대 무선기술(UWB)과 비교해도 300배의 정확도와 10배의 탐지 거리, 100배의 확장성을 갖는다.
즉, 현재보다 훨씬 많은 기기를 정밀하게 다룰 수 있다.
이 태그는 스스로 무선 신호를 생성하는 대신 주변 신호를 반사해 통신하기 때문에 신호 생성에 필요한 전력을 아낄 수 있다.
태양전지 등 무전원으로 동작하거나 코인 전지 하나로 40년 이상 구동할 수 있어 대량 운용에 적합하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김성민 교수는 "스마트팩토리 등 산업체를 넘어 XR 등 민간에서도 포괄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IoT 상호적용 기술"이라고 말했다.
kjunho@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FAANG 말고 PARC로 풀베팅”…큰거 한방 노리는 MZ 개미들
-
2
역대 최장 내수부진서 탈출 기대 '꿈틀'…소비쿠폰으로 힘 받나
-
3
“대출 막히면 전세금 어떻게 돌려주나요?”...퇴거대출 1억 한도, 실제론 다르다는데
-
4
K배터리, 美ESS 생산 본격화…관세 리스크 넘고 '현지화' 속도전
-
5
중대재해법·임금체불 양형기준 마련 불발…양형위 심의서 제외
-
6
해체 기로 놓인 금융위…'민간기구에 감독권'이 막바지 쟁점
-
7
금감원 올해 4대 금융지주 호출 작년보다 3배로 늘었다
-
8
보험도 '생산적 금융' 확대…첨단산업 투자 때 자본규제 완화
-
9
"초장기 국채 확대, 유동성 부정적…1년 이하 단기물 필요"
-
10
잘나가던 해운업 ‘관세 충격’ 어쩌나…“북미 물동량 7.8%↓, 운임도 하락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