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당국 "내수진작" 독려 속 자동차업계 '가격인하 전쟁' 재시동
지난달 '과도한 경쟁 지양' 합의했지만…최대 1천만원대 줄줄이 할인
정성조
입력 : 2023.08.08 12:08:33
입력 : 2023.08.08 12:08:33

[EPA=연합뉴스 자료사진]
(베이징=연합뉴스) 정성조 특파원 = 중국공산당과 정부가 경제 회복을 위해 자동차 소비 등 내수 진작을 주문한 가운데, 중국 내 자동차업체들이 잇따라 가격 인하를 발표했다.
8일 중국 증권일보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중국 자동차업계는 누적 판매량 1천323만9천대로 전년도 동기에 비해 9.8% 늘어난 성과를 냈다.
그러나 중국 국내 자동차업체, 특히 신에너지차(전기·수소·하이브리드차) 제조사들의 상반기 판매 목표 달성률이 대체로 낮았기 때문에 하반기 판매량 제고에 나서게 된 것이다.
실제로 이달 들어 다수의 자동차업체가 정가 인하, 신차 우대 등의 방식으로 가격 공세에 나섰다.
5만위안(약 913만원)짜리부터 30만위안(약 5천490만원)대까지 20여 차종이 할인 대상이다.
폭스바겐은 이달 한 달 동안 스포츠유틸리티차(SUV) 9종의 가격을 낮추면서 하반기 가격 인하의 신호탄을 쐈다.
대형 SUV 투앙(테라몬트)과 투앙X는 최대 6만위안(약 1천96만원), 투관L(티구안L)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은 최대 5만5천위안(약 1천7만원) 할인된다.
중국 국산 브랜드인 링파오자동차는 20만위안(약 3천650만원)대의 승용차를 2만위안(약 365만원) 깎아서 시장에 내놨다.
체리자동차와 창청자동차 등도 할인에 동참했다.
추이둥수 중국 전국여객연합회 비서장은 "하반기에 '가격 전쟁'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분야의 시장 쟁찰전이 더 치열해질 것"이라고 했다.
중국 자동차업계의 이런 가격 경쟁은 새로운 일이 아니다.
매번 경쟁이 끝난 뒤엔 자동차업체들이 연간 이익에 타격을 입게 되고, 그다음 해까지 후유증을 겪기도 했다고 증권일보는 설명했다.
올해 초만 해도 테슬라가 가격을 먼저 낮추자 후베이성의 정부·기업 연합 보조금이 전국적인 판촉을 이끌었고, 내연기관차와 신에너지차 사이에도 경쟁이 벌어지는 등 가격 전쟁이 멈추지 않았다.
결국 중국자동차공업협회는 지난달 테슬라와 중국 국내 자동차업체들까지 총 16개사를 불러 모아 대규모 가격 인하와 불공정 경쟁을 하지 않는다는 '자동차업계의 공평한 시장 질서 수호를 위한 서약서'까지 만들었다.
그러나 상반기 경제 회복세가 기대에 못 미치면서 중국 당국은 내수 활성화를 우선적인 정책 목표로 정하고 자동차와 전자제품 등을 첫 번째 소비 촉진 대상으로 꼽았다.
지난달 21일에는 거시경제 주무 기관인 국가발전개혁위원회와 상무부 등 중앙 부처 13곳이 공동으로 '자동차 소비 촉진을 위한 조치'를 발표했고, 자동차 구매 제한 완화와 낡은 차 교환 지원, 신에너지차 충전 인프라 확충, 구매세 감면 연장 등 후속 정책이 쏟아져나왔다.
추이둥수 비서장은 "소비 수요가 여전히 부족하고 업계도 큰 압박을 받고 있어 기업 경영에는 아직 도전이 많다"며 "업계의 안정을 위해 정책의 안정성과 예측 가능성이 유지될 필요가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xing@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FAANG 말고 PARC로 풀베팅”…큰거 한방 노리는 MZ 개미들
-
2
역대 최장 내수부진서 탈출 기대 '꿈틀'…소비쿠폰으로 힘 받나
-
3
“대출 막히면 전세금 어떻게 돌려주나요?”...퇴거대출 1억 한도, 실제론 다르다는데
-
4
K배터리, 美ESS 생산 본격화…관세 리스크 넘고 '현지화' 속도전
-
5
해체 기로 놓인 금융위…'민간기구에 감독권'이 막바지 쟁점
-
6
중대재해법·임금체불 양형기준 마련 불발…양형위 심의서 제외
-
7
"초장기 국채 확대, 유동성 부정적…1년 이하 단기물 필요"
-
8
금감원 올해 4대 금융지주 호출 작년보다 3배로 늘었다
-
9
보험도 '생산적 금융' 확대…첨단산업 투자 때 자본규제 완화
-
10
잘나가던 해운업 ‘관세 충격’ 어쩌나…“북미 물동량 7.8%↓, 운임도 하락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