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연, 친환경 소재 'K-스마트 센서' 개발
원전 등 각종 산업 안전 책임질 압전형 센서 국산화
김준호
입력 : 2023.08.08 15:08:51
입력 : 2023.08.08 15:08:51

한국원자력연구원 기기안전진단연구부 이민구 박사가 친환경 압전형 센서 시제품을 들어보이고 있다.2023.8.8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연합뉴스) 김준호 기자 = 한국원자력연구원은 국가 기반 산업 핵심 설비를 상시 관찰할 수 있는 압전형 센서 소재·부품 원천 기술을 개발한 데 이어 국내외 인증을 획득했다고 8일 밝혔다.
원자력 발전, 중화학 플랜트, 철도·교량 등 국가 기반 산업 핵심 설비는 충격·진동·결함 등 이상 상태를 상시 관찰하는 게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외부 충격에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켜 정보를 실시간 제공하는 압전형 센서가 필요하다.
국내의 경우 압전형 센서의 소재·부품 기술이 취약해 미국·유럽 등 기술 선진국 제조사로부터 전량 수입하고 있다.
수입되는 센서는 대표적 유해 물질인 납이 함유된 '납 티탄산 지르코늄'(PZT)이라는 압전세라믹 소재로 만들었는데, 유럽의 경우 전자제품·기기 속 납을 엄격히 규제하는 등 세계적으로 납 사용을 금지하고 있어 친환경 소재 개발·제품화 경쟁이 치열한 상황이다.
원자력연 기기안전진단연구부 이민구 박사 연구팀은 2017년부터 친환경 압전 소재부터 디자인, 부품 제작 기술까지 센서 원천기술 개발에 주력해 왔다.
PZT를 대체할 친환경 소재로 주목받는 '칼륨 소듐 니오베이트'(KNN)에 미세 도핑 방식으로 비스무트(Bi)계 화합물을 첨가해 압전성이 우수한 압전 소재를 만들었다.
이어 이 소재를 적용한 센서가 감도·주파수·안정성 측면에서 최적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디자인을 개발하고, 센서 내 복잡한 구성 부품의 제작·조립·가공 기술을 최적화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원전 등 다양한 산업 설비의 이상 진동, 이물질 충격 등을 감시할 수 있는 지름 2㎝·높이 6㎝가량의 가속도계 센서 2종과 배관 등 누설이나 결함을 탐지할 수 있는 지름 2∼3㎝·높이 2∼4㎝가량의 음향방출형 센서 2종을 개발했다.
올해 초 한국인정기구(KOLAS) 공인시험을 통해 기존 PZT 기반 상용 제품을 대체할 만큼의 성능을 확인했다.
이는 즉시 상용화가 가능한 수준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제품 안전성·신뢰성을 인증하는 국내 KC 인증과 유럽 CE 인증, 친환경성 인증인 유럽 RoHS 인증도 획득했다.
최영철 기기안전진단연구부장은 "향후 개발된 센서 제품을 각종 산업 설비에 적용하기 위해 다양한 사업화 방안을 모색하는 중"이라며 "고온·방사선 등 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친환경 특수 센서도 개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kjunho@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FAANG 말고 PARC로 풀베팅”…큰거 한방 노리는 MZ 개미들
-
2
역대 최장 내수부진서 탈출 기대 '꿈틀'…소비쿠폰으로 힘 받나
-
3
“대출 막히면 전세금 어떻게 돌려주나요?”...퇴거대출 1억 한도, 실제론 다르다는데
-
4
K배터리, 美ESS 생산 본격화…관세 리스크 넘고 '현지화' 속도전
-
5
중대재해법·임금체불 양형기준 마련 불발…양형위 심의서 제외
-
6
해체 기로 놓인 금융위…'민간기구에 감독권'이 막바지 쟁점
-
7
금감원 올해 4대 금융지주 호출 작년보다 3배로 늘었다
-
8
보험도 '생산적 금융' 확대…첨단산업 투자 때 자본규제 완화
-
9
"초장기 국채 확대, 유동성 부정적…1년 이하 단기물 필요"
-
10
잘나가던 해운업 ‘관세 충격’ 어쩌나…“북미 물동량 7.8%↓, 운임도 하락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