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中 성장률 1%p 내려가면 한국도 0.2%p 넘게 하락 가능성"
올해 韓 2.0%·中 4.8% 성장 전망…"中 위드코로나 난관 등 불확실성 염두"
차병섭
입력 : 2023.01.29 07:07:07
입력 : 2023.01.29 07:07:07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차병섭 기자 = 중국 경제의 앞날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여전하다는 관측 속에 올해 중국 성장률이 1%포인트 내려가면 한국 성장률도 0.2%포인트 넘게 떨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29일 유엔 산하 기구들이 발표한 '2023 세계 경제 상황과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유엔 경제사회처(UN DESA)는 세계 경제 예측 모델을 근거로 중국 성장률이 1%포인트 하락할 경우 동아시아·동남아시아 국가들의 성장률도 0.06∼0.41%포인트 빠질 것으로 추산했다.
한국은 0.2%포인트 중반대의 성장률 감소를 겪을 것으로 전망됐으며, 보고서에 언급된 14개국(홍콩·대만 포함) 가운데 8번째로 하락률이 컸다.
-0.4%포인트대 영향을 받는 국가는 싱가포르·베트남, -0.3%포인트대는 캄보디아·홍콩·브루나이, -0.2%포인트대는 대만·몽골·한국, -0.1%포인트대는 라오스·미얀마·말레이시아·필리핀·태국 등으로 추정됐다.

[유엔 '2023 세계 경제 상황과 전망' 보고서 캡처.재판매 및 DB 금지]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제로 코로나' 해제와 부동산 경기 부양책 등에 힘입어 올해 기본적으로 4.8% 성장해 지난해 성장률 3.0%를 넘어설 전망이다.
한국의 올해 성장률 예측치는 2.0%이며, 일본을 제외한 동아시아·동남아시아 개발도상국들은 전체적으로 4.4% 성장할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경제활동 재개 과정에서 중국의 난관 및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 등을 고려할 때 이 지역의 경제회복 여건은 여전히 취약하며, 중국의 성장률이 기대에 못 미치면 이 지역 전체의 성장률도 전망치보다 낮아질 수 있다고 보고서는 평가했다.
보고서는 그러면서도 중국과 각국의 금융·무역 관계를 고려할 때 중국의 성장률이 타국에도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면서, 중국 경제의 회복이 이 지역 전체의 성장을 뒷받침한다고 봤다.
중국 부동산 경기가 안정될 경우 중국에 건설 원자재를 수출하는 국가들이 혜택을 볼 수 있으며, 중국인의 해외 관광이 재개되면 관광 산업 비중이 큰 국가들에 호재라는 것이다.
한국의 경우 지난해 대중 수출(1천558억1천만달러)이 4.4% 감소한 반면 수입(1천545억6천만달러)은 11.5% 증가하는 등 중국과의 무역수지가 악화하는 추세지만, 올해 중국의 본격적인 경제활동 재개로 수혜를 입을 수 있다는 기대도 나온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해 11월 로이터통신 인터뷰에서 "실제로 중국이 제로 코로나 정책을 완화하고 국경과 경제를 다시 개방한다면 우리에게 거대한 경기 부양책이 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bscha@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삼진제약(005500) 소폭 상승세 +3.11%, 외국계 매수 유입
-
2
삼성운용, ‘고용노동부 전담 자산운용체계 10주년 기념식’ 개최
-
3
쿠쿠홀딩스(192400) 소폭 상승세 +5.52%, 52주 신고가, 3거래일 연속 상승
-
4
사조대림(003960) 소폭 상승세 +5.32%, 3거래일 연속 상승
-
5
지에프씨생명과학(388610) 소폭 상승세 +3.30%
-
6
디오(039840) 소폭 상승세 +3.32%, 외국계 매수 유입
-
7
인기검색 20종목
-
8
코람코, 퍼시스와 최대 800억 원 규모 SMA 약정 체결
-
9
한화투자증권, 자산전략 보고서 ‘메인디쉬, 사이드디쉬’ 발간
-
10
이더리움 비축 전략도 대세 오르나…1억 자금조달 발표한 BTCS, 하루만에 주가 111% 급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