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앞바다 이산화탄소 포집·저장시설 올해 말까지 철거
2017년 규모 5.4 포항지진 이후 시민들이 철거 요구
손대성
입력 : 2023.01.30 16:38:27
입력 : 2023.01.30 16:38:27

[연합뉴스 자료사진]
(포항=연합뉴스) 손대성 기자 = 정부가 경북 포항 앞바다에 설치한 이산화탄소 저장시설을 시민들의 요구에 따라 올해 안으로 철거하기로 했다.
30일 포항시에 따르면 정부는 올해 말까지 17억3천700만 원을 들여 포항 영일만에 설치한 '포항 해상 CCS(이산화탄소 포집·저장) 플랜트'를 해체 철거한 뒤 원상복구 한다.
참여 기관 가운데 케이베츠는 해상플랫폼과 해저파일을 해체한다.
지오텍컨설탄트는 이산화탄소 주입정을 원상복구 한 뒤 콘크리트를 주입해 폐쇄한다.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는 해체 후 이산화탄소 누출 여부를 평가하는 등 사후관리 관찰을 맡는다.
정부나 관련 기관은 해상에서 시설물을 해체한 뒤 육지로 이송해 재활용할 방침이다.
CCS실증사업은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땅속에 저장하는 기술을 실제 적용하는 사업이다.
관련 전문가들은 이산화탄소를 암석 속에 넣으면 공극에 있는 탄산이온 등과 반응해 장기적으로 광물화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2010년부터 'CCS 기술 실증'을 추진해 2013년부터 2016년까지 183억6천만 원을 들여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 주입설비를 설치했다.
이어 2017년 1월부터 3월까지 화력발전소에서 나온 이산화탄소 100t을 지하에 시험 주입했다.
세계에서 3번째 소규모 실증 성공 사례였다.
그러나 2017년 11월 15일 포항지열발전소 가동에 따른 규모 5.4 포항지진이 일어나자 포항시민들은 CCS 플랜트 폐쇄를 촉구해왔다.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등은 2019년 5월 조사단을 꾸려 "포항 CCS 사업의 주입행위와 2017년 11월 발생한 포항지진 간 관련성을 보여주는 증거는 찾을 수 없고, 포항 실증사업이 포항지진에 원인이 될 수 없다"고 밝혔다.
그런데도 시민 거부감이 줄지 않자 정부는 애초 연간 5천만t을 저장하기로 한 목표를 수정해 추가로 이산화탄소를 주입하지 않고 CCS 플랜트를 폐쇄하기로 했다.
현장 조사를 맡은 공주대 측이 그동안 CCS 플랜트 주변을 조사한 결과 이산화탄소 누출은 발생하지 않았다.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소속의 장세원 책임자는 "해상 CCS 플랜트를 폐쇄, 해체, 원상복구 할 예정이고 앞으로 관찰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sds123@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엔비디아, 세계 상장기업 중 처음 시총 4조 달러 달성
-
2
트럼프, 또 금리인하 압박…"연준 금리 최소 3%포인트 높아"
-
3
뉴욕증시, 기술주 주도 반등…엔비디아 시총 4조달러 첫 돌파
-
4
"울트라와 헷갈리네…" 삼성 갤럭시 Z폴드7 살펴보니
-
5
갤럭시S 울트라가 폴더블로?…삼성, 얇고 가벼워진 Z폴드7 공개
-
6
[사이테크+] "2천400만년 된 동물 화석 이빨에서 단백질 복원 성공"
-
7
S울트라보다 가벼운 Z폴드7 공개…'AI 눈' 제미나이 라이브 탑재(종합)
-
8
체코도 공공기관서 딥시크 사용 금지
-
9
"원 그리면 검색" 갤럭시 '서클투서치' 게임 중에도 쓴다
-
10
“한 번만 걸려도 끝난다”...부당이득 2배 과징금에 ‘원스트라이크’ 아웃제 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