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조원 퇴직연금 시장, 올해 디폴트옵션 본격 시행에 판 바뀌나?
입력 : 2023.02.02 10:10:46
원리금보장상품으로 방치된 퇴직연금
실적배당 상품으로 머니무브
실적배당 상품으로 머니무브
퇴직연금 디폴트옵션(사전지정운용제도)이 지난해 7월 도입된 이후 두 번의 상품 심사를 거치며 올해부터 본격적인 가입자들의 선택이 시작된다. 이에 따라 300조원을 돌파한 국내 퇴직연금 시장의 지형도가 어떻게 바뀔지 주목된다.
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퇴직연금 디폴트옵션은 근로자가 자신의 퇴직연금 적립금을 운용할 금융상품을 결정하지 않을 경우, 사전에 정한 운용 방법으로 적립금이 자동 운용되도록 하는 제도다. 그간 퇴직연금 가입자들의 상당수는 전문성 부족과 낮은 관심도로 인해 퇴직연금 적립금을 원리금보장상품에 넣어두고 방치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로 인해 퇴직연금 수익률이 저조해 지는 결과를 낳았다. 금융감독원 통계에 따르면 2017년 이후 5년간 연평균 수익률은 2% 에 미치지 못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퇴직연금 가입자들의 수익률 제고 목적의 디폴트옵션 조항을 담은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개정안이 수년간, 수차례 국회 논의를 거쳐 2021년 12월 본회의를 통과했고 2022년 7월 본격적으로 시행됐다.
고용노동부는 2022년 하반기 상품 심사를 거쳐 11월과 12월 두 차례 퇴직연금 디폴트옵션 적격 상품 259개를 위험등급별로 분류해 발표했다. 이로 인해 가입자들은 올해부터 본격적인 상품 가입을 진행중이다. 사용자(회사)는 승인받은 디폴트옵션을 근로자대표 동의를 거쳐 퇴직연금규약에 반영시키고 규약에 반영된 디폴트옵션의 주요 정보를 퇴직연금사업자로부터 제공받아 근로자는 그 중 하나의 상품을 디폴트옵션으로 선정하게 된다.
기존에 운용하던 상품들의 경우 만기 도래 후 운용지시없이 4주가 경과하면 “향후 2주 이내 운용지시 없을 경우 적립금이 디폴트옵션으로 운용됨” 을 통지하고, 통지 이후에도 운용지시 없이 2주가 경과하면 적립금이 사전지정운용방법으로 운용된다.
고용노동부의 심사로 디폴트옵션 적격 상품으로 인정받은 실적배당형 220개 상품 가운데 TDF(타겟 데이트 펀드)가 포함되어 있는 상품 개수는 165개에 달한다. 무려 75%에 육박한다. 디폴트옵션 제도가 진행될수록 TDF 시장이 점점 커질 수 밖에 없는 이유다. 다만, 적격 상품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모니터링 결과로 인해 변경될 가능성도 있지만 TDF는 은퇴시점에 맞춰 자산배분과 운용전략이 바뀌게 되는 상품 특성상 디폴트 옵션의 취지에도 잘 맞아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한국 TDF 시장은 연금의 투자 문화가 본격화되기 시작한 2020년도부터 급격히 성장했다. 2019년말 기준 설정액 2조 8,799억이었던 국내 TDF 규모는 2022년말 9조 1414억원까지 늘어났다. 이 중에서는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작년말 기준으로 점유율 43%를 차지하며 선두에 서 있다. 업계에서는 미래에셋의 자체 설계 글라이드 패스(생애주기 자산배분곡선)를 통한 운용전략으로 장기 수익률이 우수하다는 점 뿐 만 아니라 전략배분, 자산배분 등 차별화된 상품구조를 통해 합성총보수비용이 저렴하다는 점을 선두의 이유로 꼽는다. ‘미래에셋전략배분TDF’ 는 TDF 시리즈 중 2025, 2030, 2035, 2040, 2045 에서 2022년 말 기준 3년, 5년 장기 수익률 1위를 기록했다. 이번 디폴트옵션 적격 상품 중에서도 미래에셋자산운용이 96개의 TDF 상품을 리스트에 올리며 업계에서 가장 많은 숫자를 기록했다.
또한,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이번 디폴트옵션 적격 상품에 130개를 차지하며 전체 상품 중 절반을 차지했다. 전체 운용사 중 100개가 넘는 상품 승인을 받아낸 것도 미래에셋이 유일하다.
미래에셋은 박현주 회장의 강력한 의지로 퇴직연금 비즈니스 도입 시점부터 장기플랜을 갖고 적극적으로 인력 확충과 함께 투자를 진행하며 선제적으로 사업을 강화해 왔다.
업계 관계자는 “디폴트옵션이 오랜기간 논의 끝에 어렵게 도입된 제도인 만큼 본래 취지인 퇴직연금 투자자들의 수익률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라며, “미국 등 연금 선진국 사례를 봤을 때 디폴트옵션의 성공을 위해서는 실적배당 상품 중 메인으로 평가되는 TDF 상품에 대한 운용사별 차별화된 상품구조와 장기 운용성과 등이 중요한 키가 될 것” 이라고 말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코스피 프로그램 순매도 상위종목
-
2
변동성완화장치(VI) 발동 종목, 발동시간 기준
-
3
사상 최대 실적 냈지만…KB금융, 주주환원 실망감에 5%대 하락
-
4
코스닥지수 : ▲6.49P(+0.89%), 737.47P
-
5
코스닥 프로그램 순매수 상위종목
-
6
맥스트(377030) 상승폭 확대 +8.28%
-
7
하이퍼코퍼레이션(065650) 상승폭 확대 +11.97%, 9거래일만에 반등
-
8
“서학개미 잡아라”…한국투자증권, MTS 해외주식 신규 기능 추가
-
9
SK바이오팜, 24년4분기 연결 영업이익 406.54억원, 컨센서스 추정치 상회
-
10
HD현대건설기계, 24년4분기 연결 영업이익 353억원, 컨센서스 추정치 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