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스타] [2023] 네이버, 지스타서 '생성형AI'가 바꿀 미래 게임 산업 제시
입력 : 2023.11.16 17:05:21
제목 : [지스타] [2023] 네이버, 지스타서 '생성형AI'가 바꿀 미래 게임 산업 제시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센터장, 하이퍼클로바X 소개 및 제작 시연
"생성형 AI 모든 사회에 큰 영향 주고 있어…게임도 다르지 않아"[톱데일리] 네이버가 국내 최대 게임쇼 지스타에서 자사가 개발한 초거대 생성형 인공지능(AI) '하이퍼클로바X'를 소개하고 미래 게임 제작 비전을 선보였다. 네이버는 생성형 AI가 산업 대부분에서 적용되는 속도가 빨라지는 만큼 게임 산업에서도 다양한 활용 방안이 생겨날 것으로 전망했다.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센터장은 16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지스타 2023'의 컨퍼런스 프로그램인 'G-CON 2023'에서 '초대규모 AI 시대의 콘텐츠 창작 그리고 게임 산업'라는 주제로 기조연설을 진행했다. 게임 컨퍼런스에서 글로벌 유명 게임사의 임직원이나 개발자가 아닌 연사가 기조연설을 담당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그만큼 게임 업계에서도 생성형 AI는 최대 화두다.
하정우 센터장은 "AI 개발자가 게임쇼에서 키노트를 한다는 것 자체가 최근 생성형 AI가 모든 사회에 엄청나게 큰 영향을 주고 있고 게임 산업 역시 다르지 않다는 걸 설명하는 것"이라고 말하며 강의를 시작했다.
이어 "어쩌면 게임을 만드는 방법도 생성형 AI에 의해서 바뀌고 있는 시대라고 말씀을 드릴 수 있겠다"며 "게임 산업을 생각해 보면 스토리텔링을 한다거나 게임 캐릭터 원안을 만드는 것들이 이제는 생성형 AI의 도움을 받아서 훨씬 더 효율적으로 진행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정우 센터장은 자사 생성형 AI 하이퍼클로바X로 게임 속 캐릭터와 몬스터는 물론 전투 장면까지 시연하며 눈길을 끌었다. 그는 "캐릭터들의 페르소나 개발, BGM 작곡을 위한 초안 작업, AI 플레이어와의 인터렉션까지 생성형 AI 도움을 받을 수 있다"며 "이미 많은 게임사들이 다양한 영역에서 생성 AI를 사용하고 있다. 네이버의 클로바 스튜디오를 사용해 버추얼 플로우가 AI 게임 제작 솔루션 T4Framwork.AI를 만든 사례도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하정우 센터장은 "생성형 AI는 기본적으로 사람이 사용하는 도구"라며 "생성형 AI가 뛰어난 기능을 제공하지만 만능은 아니다. 세부적인 오류에 대해서는 사람의 손길을 거쳐야만 훨씬 더 좋은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라고 말했다.
아울러 하정우 센터장은 게임사들의 생성형 AI 활용이 확대되면 비즈니스 측면에서도 새로운 가능성을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생성형 AI를 활용한 게임사들이 다양한 이용자들이 필요한 정보를 기반으로 니즈를 충족시키며 고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정우 센터장은 "생성형 AI는 게임사들이 필요한 정보들을 물어봤을 때 이용자들의 니즈를 기반으로 필요한 정보들을 다 제공받을 수 있다"며 "앞으로 이러한 상호작용 체계가 만들어지면 실제 게임 이용자 유입이 더 이어질 수 있는 패러다임으로 변화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그는 "네이버의 하이퍼크로바X는 네이버의 200개 이상 서비스와 연결되고 외부 앱들과 연동을 추진하고 있다"며 "한국을 가장 잘 이해하고 한국인이 가장 편한 서비스를 만들 수 있는 AI는 하이퍼크로바X는 앞으로 게임을 비록한 다양한 사업군과 협업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톱데일리
김재훈 기자
해당 기사는 톱데일리(www.topdaily.kr)에서 제공한 것이며 저작권은 제공 매체에 있습니다. 기사 내용 관련 문의는 해당 언론사에 하시기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4.24 09:05
NAVER | 192,800 | 100 | -0.05%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속보] SK하이닉스 1분기 영업이익 7조4405억원…전년比 157.8%↑
-
2
대체거래소(NXT) 애프터마켓 상승률 상위종목
-
3
SK하이닉스, 25년1분기 연결 영업이익 7.44조원, 컨센서스 추정치 상회
-
4
제이스코홀딩스, 자기 전환사채 매도 결정
-
5
“LG이노텍, 1Q 아쉬웠던 내실…하반기 반짝 반등 기대”
-
6
당일 1분기 실적 발표 예정 주요 기업(04.24 발표 예정)
-
7
주요 기업 영업이익 예상치 및 실적 발표 일정 (2025년 1분기, 2025.04.24 기준, 연결)
-
8
주요환율 및 반도체/상품동향
-
9
전일 1분기 실적 발표 주요 기업(2025.04.23 발표)
-
10
뉴욕 마감시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