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저장시설 확충을 포함한 관계 기반시설 확장 작업에 나섰다. 2027년까지 한국가스공사의 당진 천연가스 생산기지에 액화천연가스(LNG)선 전용 항만시설을 준공하고, 가정용 가스 한 달 치를 추가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후 불거진 가스 대란을 비롯한 에너지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3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가스공사는 지난달 말 충남 당진LNG생산기지 전면 공유수면에 LNG선 전용부두와 항로를 비롯한 항만시설 건설작업에 착수했다. 지난 4월 발표한 제15차 장기 천연가스 수급계획의 세부 이행 조치 중 하나다. 정부는 천연가스 공급 인프라 강화를 위해 2027년 12월까지 천연가스 저장시설 108만㎘(킬로리터)를 확충할 계획이다. 올해 가정·일반용 도시가스 수요 예측량 기준으로 약 31일 치에 해당한다.
가스공사는 2029년과 2031년에 각각 81만㎘의 저장 용량을 추가로 확보해 총 270만㎘의 천연가스 저장시설을 추가로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기준 가스공사의 저장시설 용량이 1216만㎘인 점을 감안하면 22%가량 늘리는 셈이다. 산업부는 이 기간 보령·울산·광양·통영에 민간 저장탱크 266만㎘를 증설해 유동성에 대비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민간부문 저장시설 용량은 193만㎘ 규모에 불과하다.
모든 지자체에 가스 공급체계를 구축해 지역 균형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기반도 마련한다. 장기 천연가스 수급관리 수요 전망치에서 발전용은 올해 2419만t에서 2036년 1667만t으로 31.1%가량 감소하지만, 같은 기간 가정·일반용은 1275만t에서 1453만t으로 14.0%, 산업용은 968만t에서 1460만t으로 50.8% 급등하는 데 따른 대응책이다. 산업부는 그 일환으로 지난해 기준 5105㎞의 천연가스 주 배관망을 2036년까지 735㎞ 더 짓는다. 또 당진기지 외 민간에서 운영하는 광양과 울산, 여수기지에 하역부두 3선좌를 신설해 총 15척의 가스 운반선을 운용할 방침이다.
LNG 수입국 다변화도 추진한다. 중동을 비롯한 특정 지역에서 공급 차질이 생길 경우에도 천연가스 공급 안정성을 제고하기 위해 공급원이 다원화된 기업으로부터의 도입을 확대할 예정이다. 또 LNG 시장 변동에 따른 가격 반영이 어려운 장기 계약 리스크를 완화하기 위해 중기 계약 활용도도 높일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