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 너무 많이, 빠르게 오른다”…월가서 고개드는 신중론

강인선 기자(rkddls44@mk.co.kr)

입력 : 2023.02.07 13:24:31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중개인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사진제공=연합뉴스>


고용 등 긍정적인 경기 지표에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다시 상승세로 돌아서면서 월가에서는 증시 추가하락에 대한 경고가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다.

6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재무부에 따르면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3.63%로 지난달 5일(3.71%)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10년물 국채 금리는 올해 초 3.79%에서 시작해 지난달 18일 3.37%까지 급격하게 떨어졌다가 최근 보름새 또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10년물 국채 금리는 경기에 대한 시장 전망을 반영한다. 경기가 좋으면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긴축적 통화정책을 이어갈 것이라는 예상에 금리가 올라간다.

이에 월가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추가적인 주가 하락에 주의해야 한다는 주장들이 나오고 있다. 6일 메릴린치 북미 이코노미스트 출신 데이비드 로젠버그는 마켓워치와의 인터뷰에서 “S&P500이 30% 가량 추가 하락할 수 있다”며 “2024년까지는 대세 상승을 기대하지 말라”고 조언했다.

올해 들어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 추이 <자료=미국 재무부>


근거로는 역사적으로 증시의 바닥이 경기 침체가 시작된 이후에도 상당 시점이 지나 나타났다는 점을 들었다. 로젠버그는 “증시 바닥은 보통 경기 침체가 시작된 이후 6~7분기 이후에 나타났다”며 “연준이 긴축 속도를 조절한 이후 한참 뒤에 최저점을 찍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긴축 속도 조절이란 기준금리 인상을 중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증시 바닥은 S&P500 지수가 현재 수준으로부터 30% 가량 떨어진 2900 수준으로 예측했다.

글로벌 자산운용사 아폴로의 토스텐 슬록 수석이코노미스트도 주식 시장이 향후 힘을 잃을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를 실었다. 그는 미국 경제가 연착륙·경착륙을 따지기 전 아예 착륙을 하지 않는 시나리오를 보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슬록 이코노미스트는 “경기가 둔화세를 보이지 않으며, 물가상승률이 초기에 하락한 후 공급망 경색 완화로 다시 올라갈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이 시나리오에서 연준은 물가상승률을 목표치인 2%로 낮추기 위해 금리를 더 인상하고 더 오랜 기간 높게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주식 시장과 신용에 대한 하락 위험을 키운다.

이같은 이유로 월가에서는 채권, 금과 같은 안전 자산에 투자하라는 조언이 나온다. 주식 중에서는 소비자들이 지출을 줄이기 어려운 방어적 성격을 지닌 종목을 선택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로젠버그는 “30년물 국채가 유망해 보인다”며 “경기 침체와 물가상승률의 둔화는 국채 금리 하락(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달러 가치가 하락할 때 대체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금도 유망하다고 봤다. 연준이 기준금리를 인하하기 시작하면 달러 가치는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이를 대신할 수 있는 금이 유력한 투자처로 떠오를 것이라는 설명이다.

경기에 민감한 임의소비재보다는 필수소비재 섹터에 투자하는 것이 나으며 빅테크 기업 중에서는 경기에 민감한 애플보다는 방어적 성격을 지닌 마이크로소프트·구글·아마존이 더욱 적합한 투자처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2.06 19:56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