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이 끌고 수퍼·편의점도 선방”…GS리테일, 작년 영업익 11.7%↑
이상현 매경닷컴 기자(lee.sanghyun@mkinternet.com)
입력 : 2023.02.07 17:21:47
입력 : 2023.02.07 17:21:47
엔데믹으로 국내외 호텔 투숙객이 증가한 데다 수퍼 가맹점과 편의점이 모두 호실적을 거두면서 GS리테일의 지난해 영업이익이 2451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보다 11.7% 증가한 수준이다.
7일 금융감독원 공시시스템에 따르면 GS리테일의 지난해 매출은 11조2264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전년보다 15.8% 증가한 수준이다. 순이익은 504억원으로 93.7% 감소했다.
작년 4분기 영업이익은 전년보다 180.9% 늘어 853억원을 기록했다. 금융정보제공업체 에프앤가이드의 컨센서스(566억원)를 50.7% 웃돌았다. 같은 기간 매출은 2조8885억원, 순손실은 401억원이었다.
사업 부문별로 4분기 실적을 살펴보면 편의점 매출은 1조9879억원으로 전년보다 9.1% 늘었다. 영업이익은 전년(316억원)보다 116억원 늘어 432억원을 기록했다. 광고판촉비가 늘어났지만, 신규 점포 수와 기존 점포의 일매출이 증가하면서 호조를 띠었다.
수퍼 사업은 퀵커머스 때문에 소모품과 수수료 등 지출이 있었으나, 기존점 매출이 늘고 매익률이 개선되면서 영업이익이 흑자전환했다. 매출은 16.1% 늘어난 3393억원, 영업이익은 40억원을 기록했다.
단연 돋보인 건 호텔의 성장률이었다. GS리테일이 운영하는 파르나스호텔은 국내 호캉스 수요와 해외 입국 규제 완화로 외국인 여행객이 증가하면서 선방했다. 매출은 전년보다 76.8% 늘어난 1218억원, 영업이익은 200억원 늘어난 305억원으로 집계됐다.
반면 홈쇼핑은 매출이 1.9% 감소해 3205억원을 기록했다. 고강도 방역수칙 해제로 소비자들의 외출이 늘어나면서 온라인 지출이 줄어든 까닭이다.
다만 판관비 절감과 세금 환급(일회성)으로 이익이 개선되는 효과를 봤다. 영업이익은 전년보다 192억원 증가한 584억원이다.
GS리테일 관계자는 “플랫폼 BU(편의점, 수퍼)의 기존점 신장과 매익률 개선으로 이익이 회복됐다”고 설명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비트코인 안 샀지만 이 주식은 살 걸”…9개월 새 주가 1700% 뛰었다는데
-
2
아모레G, 보통주 1주당 330원, 종류주 1주당 335원 현금배당 결정
-
3
[단독] “골프용품 회사 몸값 얼마나 나갈까”…테일러메이드, 4년만에 M&A 매물로
-
4
아모레G, 보통주 3,000,000주, 소각 결정
-
5
“영끌하느라 은퇴자금까지 탈탈”…노후 빈곤 한국, 이 나라는 다르다는데
-
6
검찰, '무죄' 이재용 상고할지 외부의견 듣는다…내일 심의(종합)
-
7
폭설에 항공기 운항도 차질… 3편 취소·82편 지연
-
8
"'5G 전환'에 월 2만5천원 더 지출…이동통신사 요금 낮춰야"(종합2보)
-
9
아모레, 지주사 사명 '아모레퍼시픽홀딩스'로 변경…자사주 소각
-
10
“중국으로 개인정보 다 털릴라”…딥시크 포비아에 정부·기업 금지령 확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