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 '이러지도 저러지도'…수소 승용차는 '후진 중'

이유진

입력 : 2024.02.08 17:15:58



【 앵커멘트 】

차세대 친환경차로 각광받던 수소차 시장이 한풀 꺾였습니다.


충전소 부족 등으로 판매량이 역성장 한 건데요.

수소차 개발에 박차를 가하던 기업들로썬 속도 조절을 고민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입니다.


이유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서울 영등포구의 한 수소충전소 앞.



여러 대의 차량이 줄지어 서있습니다.




수소차는 승용차 기준 5분 정도로 전기차에 비해 충전 시간이 짧은 편입니다.




다만 충전소가 많지 않아 운전자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수소차 운전자

- "밤에 퇴근해서 10시 정도 도착했는데 (수소가) 없다는 거예요. 그래서 몇 번 헛걸음한 적도 있고 그런 게 불편해요."



이렇듯 인프라 부족 등의 문제로 수소차는 아직까지 큰 시장을 형성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설상가상 지난해 전 세계 수소차 판매량까지 하향곡선을 그린 상황.



조 단위의 막대한 개발 비용에 비해 당장 수익성은 미미하다 보니, 기업들은 수소차 사업을 보다 장기적인 관점으로 접근할 수밖에 없습니다.




▶ 인터뷰 : 남정호 / H2리서치 대표

- "수소 생산이라든지 운송·저장 등 현대차가 할 수 없는 부분이 있잖아요. 이런 부분이 같이 안 온 것이 수소차 생산 한계에 부딪힌 원인이 되지 않았나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



▶ 인터뷰 : 구준모 / 수소융합얼라이언스 책임연구원

- "어느 정도 규모의 경제가 형성되면 분명히 수소차 생산 단가는 떨어질 것입니다.
그래서 대기업들은 지금은 손해를 보지만 계속적으로 투자를 할 거고요."



▶ 스탠딩 : 이유진 / 기자

- "정부는 관련 규제 등을 풀어 현재 200곳이 되지 않는 수소충전소를 2030년 460곳까지 늘리겠다는 구상입니다"



인프라 구축과 함께 판매 모델을 늘리는 것도 수소차 대중화를 위한 숙제 중 하나.



현대차는 내년 신형 넥쏘 출시를 앞두고 있고, 토요타와 혼다, BMW 등도 수소차 개발의 끈을 놓지 못하고 있습니다.




수소 모빌리티가 현재의 데스밸리를 넘어 규모의 경제를 이룰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매일경제TV 이유진입니다.
[ ses@mk.co.kr ]
[ⓒ 매일경제TV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 관련 종목

02.06 15:30
현대차 203,500 1,000 -0.49%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2.07 08:25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