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硏 "한국경제 U자형 회복 유력…내수회복 지연은 걸림돌"
오지은
입력 : 2024.03.07 11:00:03
입력 : 2024.03.07 11:00:03

[정연주 제작] 일러스트
(서울=연합뉴스) 오지은 기자 = 국내 경기가 이번 분기 중 회복 국면으로 전환할 것이란 기대감이 커졌지만, 고금리로 인해 내수 부문의 회복이 지연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현대경제연구원은 7일 이러한 내용의 '경기 회복 기대감 속 수출·내수 경기 양극화' 보고서를 펴냈다.
연구원에 따르면 현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수순환변동치는 지난해 12월 99.6을 저점으로 1월 소폭 상승해 저점을 통과했고, 미래 경기 방향을 예고하는 선행지수순환변동치는 지난해 4월 98.6으로 저점을 통과한 뒤 지속해서 상승하고 있다.
특히 수출 경기는 미국 시장 호조, 반도체 수출 회복, 지난해 기저효과 등 영향으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2월 대(對)중국 수출이 감소세(-2.4%) 돌아서는 등 불안 요인이 있지만 전체 수출은 작년 동월 대비 4.8% 증가해 5개월 연속 증가세를 기록했다.
다만 연구원은 고금리에 따른 실질구매력이 위축되며 내수 시장의 회복력이 기대보다 미약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달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01.9로 전월(101.6)에 이어 2개월 연속 기준치를 상회했지만, 생활형편에 대한 판단을 묻는 생활전망CSI는 기준치를 크게 밑도는 94에 머물렀다.
연구원은 가계의 향후 경제 상황에 대한 심리적 기대감은 높지만, 지난해 실질임금이 감소(-1.1%)하는 등 구매력이 뒷받침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기업경기실사지수(BSI)가 개선되고 있고, 설비투자 선행지표인 설비투자조정압력도 6개월 연속 '플러스(+)'를 기록하고 있지만 실제 설비투자는 침체가 지속되고 있다고 연구원은 지적했다.
연구원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피벗(정책 전환) 시점, 중국 경제의 디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하락) 등 대외 여건을 고려해 'V'자형의 빠른 회복보다는 'U'자형의 저속 회복이 유력하다고 진단했다.
연구원 관계자는 "조기 경기 회복과 저성장 장기화 차단을 위해 적극적인 '포워드 가이던스'와 시스템 안정성 확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built@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풍력·태양광 상반기 입찰 공고…풍력평가에 '안보지표' 첫 반영
-
2
“손실 무서워 계좌 볼 엄두도 안났는데”…서학개미 속 썩인 이 주식, 한 달만에 부활
-
3
40조 배터리 ESS 시장 '활짝'…K-배터리 中 공세속 안방 지킬까
-
4
"서울 생활의 멋과 여유…'서울에디션 25' 뽑아주세요"
-
5
美中 관세 휴전 후 물동량 '깜짝 반등'…지속성엔 의문
-
6
서울 강남구 아파트, 토허제 해제 때 대비 평균 62% 상승
-
7
서울시여성가족재단, 구글 클라우드와 손잡고 여성 IT인재 육성
-
8
서울시민 주거여건·금융부담 분석해 주택정책 체감도 높인다
-
9
공매도 비중 상위 종목
-
10
3월말 보험사 부실채권비율 급등…"홈플대출 전액고정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