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쳐켐(220100) 소폭 상승세 +3.03%
방사성의약품 전문 생산업체로 2016년12월1일 코넥스시장에서 코스닥시장으로 이전 상장. 다양한 F-18 표지 관련 특허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알츠하이머 진단용 방사성의약품 알자뷰®([18F]FC119S), 파킨슨 진단용 방사성의약품 피디뷰®([ [18F]FP-CIT) 등의 방사능의약품 신약 개발. 방사성의약품 생산용 자동합성장비 sCUBE® RXN, P&F 등과 합성시약 및 방사성의약품 전구체 등을 생산. 전립선암 진단제 FC303은 국내 임상 3상이 진행중이고 미국에서 임상 1상을 완료했으며, 유럽(오스트리아)은 2021년 5월 해외 파트너사를 통해 임상3상 계획승인을 받아 3상 진행중. 중국 또한 해외 파트너사를 통해 임상 3상 진행 할 예정. 전립선암 치료제 FC705는 임상 2상 시험 계획을 승인 받아 임상 2상 진행중에 있으며, 글로벌 L/O를 위한 미국 FDA 임상시험계획 승인을 받아 임상 1상을 완료했고 2a상 임상 진행중. 최대주주는 지대윤 외(13.60%) Update : 2024.06.04 |
▶빅데이터의 시대를 앞서가는 투자자의 필수템. 인포스탁 모바일 주식신문
일자 | 종가(등락률) | 거래량 | 개인 | 외국인 | 기관계 | 기타 |
08-06 | 18,150 ( +6.14 % ) | 778,530 | +66,342 | -38,146 | -27,081 | -1,115 |
08-05 | 17,100 ( -14.37 % ) | 1,023,433 | -144,758 | +231,795 | -86,411 | -626 |
08-02 | 19,970 ( -4.45 % ) | 732,374 | +62,680 | -27,240 | -23,436 | -12,004 |
08-01 | 20,900 ( +2.45 % ) | 480,662 | +24,056 | -46,880 | +25,636 | -2,812 |
07-31 | 20,400 ( -1.69 % ) | 782,973 | +56,125 | -98,498 | +44,974 | -2,601 |
일자 | 공매도 거래량 | 업틱룰 적용 | 업틱룰 예외 | 잔고수량 | 매매비중 |
08-06 | 78 | 0 | 78 | - | 0.01% |
08-05 | 27,295 | 0 | 27,295 | - | 2.67% |
08-02 | 12,839 | 0 | 12,839 | 0 | 1.75% |
08-01 | 937 | 0 | 937 | 0 | 0.19% |
07-31 | 720 | 0 | 720 | 0 | 0.09% |
☞ 2024-07-19 급등 - 美 전립선암 진단제 개별 급여 적용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 2024-07-17 美 전립선암 진단제 개별 급여 적용 수혜 전망 등에 소폭 상승 ☞ 2024-07-15 급등 - 일라이릴리 알츠하이머 치료제 '도나네맙'을 처방하기 위해 필요한 방사성 동위원소 진단제인 아미비드를 국내 환자들에게 공급하는 독점계약 체결 사실 지속 부각에 급등 ☞ 2024-07-09 급등 - 일라이릴리 알츠하이머 치료제 도나네맙 美 FDA 통과 소식 속 국내에서 도나네맙을 처방하기 위해 필요한 방사성 동위원소 진단제인 아미비드를 국내 환자들에게 공급하는 독점계약 체결 사실 부각에 급등 |
2024-08-08 美) 일라이 릴리 실적발표(현지시간) |
기사 관련 종목
퓨쳐켐 | 22,250 | 200 | +0.91%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김해공항 국제선 첫 1천만명 달성하나…1분기 252만명, 15%↑
-
2
'생림에서 노랑'…레일바이크와 함께하는 유채꽃축제 19일 개막
-
3
아마존이 선택한 전기차 '슬레이트'…K-배터리 협업 기대감 고조
-
4
'고래' 美中 관세전쟁에 '새우' 韓 등 터지나…기회로 바꿀 전략 필요(종합)
-
5
"디자인만 우리가" 애플의 유구한 전략, 트럼프가 바꿔 놓을까
-
6
'부산형 라이즈', 해양·반도체·영화 등 대학 특성화 집중 지원
-
7
'청년 전세대출' 허점 악용해 21억 가로챈 일당 무더기 징역형
-
8
무디스 "尹 파면에도 韓 경제·정치 불확실성 지속될 듯"
-
9
일주일 간격 산청·하동 산불로 산림 소실…커지는 산사태 우려
-
10
“22개월째 마이너스”...역대 최장기 불황에 빠진 숙박·음식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