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프로젠, 내달 허셉틴 바이오시밀러 미국 FDA BPD 미팅
입력 : 2024.10.21 09:44:16

항체의약품 개발 전문기업 에이프로젠은 다음달에 미국 FDA와 타입2 BPD(Biological Product Development) 미팅을 갖는다고 21일 밝혔다.
해당 사전 미팅은 에이프로젠이 유럽 등 15개국 150여개 병원에서 임상3상을 추진중인 허셉틴 바이오시밀러 AP063의 품목허가 신청을 위한 PPQ(Process Performance Qalification) 자료 확정이 목적이다. 이번 미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에이프로젠은 품목허가 신청을 위한 시간을 대폭 단축시키고 비용도 크게 절약할 것으로 회사측은 기대하고 있다.
이번 BPD 미팅은 압도적 배양 생산성으로 비교불가의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에이프로젠의 바이오시밀러 사업 전략을 품목허가의 관점에서 선진국 규제 기관으로부터 인정받을 수 있는 두번째 중요한 터닝포인트다. 에이프로젠은 대부분의 바이오시밀러 개발사와는 다르게 퍼퓨전 방식의 배양 공정을 채택하고 있다.
에이프로젠에 따르면 이 회사의 허셉틴 바이오시밀러의 경우 2000리터 배양기 1회 가동(1배치)으로 정제 전 배양액 기준 약 130kg의 항체가 만들어지며 휴미라 바이오시밀러는 200kg 이상이 만들어진다. 이는 상업용으로 가장 큰 정제 장비인 지름 1.8m짜리 컬럼을 사용해도 6번 또는 7번에 나눠서 정제를 진행해야 할 만큼 많은 양이며 패드배치 공정을 사용하는 경쟁사가 1만5천리터 배양기 약 4대에서 6대를 가동해야 생산 가능한 엄청난 양이다.
에이프로젠은 미국 FDA 및 유럽 EMA와의 사전 미팅을 통해 6번으로 나눠서 정제를 진행한 6개의 서브배치(sub-batch) 각각을 독립 원료의약품(DS; Drug Substance) 배치로 인정받은 바 있다.
이 회사는 이번 BPD 미팅에서 배양 3배치에 대해 각각 1개 혹은 2개의 서브배치(총 3개 또는 6개 서브배치)에 대한 정제 및 완제 PPQ 자료만으로 품목허가를 신청하는 방안에 대해 FDA로부터 재확인을 받을 예정이다. 이렇게 되면 에이프로젠은 배양 3배치부터 얻은 18개 서브배치 모두에 대해 일일이 PPQ 자료를 만들 필요가 없어져 비용을 대폭 절약하면서도 품목허가 시기를 크게 앞당길 수 있다.
회사 관계자는 “자사는 이미 2년전에 미국 FDA와 유럽 EMA가 서브배치를 독립 원료의약품 배치로 인정한 만큼 이번 미팅에서도 원하는 결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해외 유수 컨설팅 기관들로부터도 동일한 답변을 들었다”고 말했다.
이상규 기자
기사 관련 종목
05.23 15:30
에이프로젠 | 648 | 20 | -2.99%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누가 당선되든 오른다" 바닥친 코스피 하반기 3,000 넘본다
-
2
“노다지였는데 어쩌다 이리 됐지”...은행 공항 지점, 환전 ‘밥그릇’ 뺏긴 사연은
-
3
비트코인, '관세 전쟁 재점화 조짐'에 10만8천달러대로 하락
-
4
[이번주뭘살까] 더위 피할 팝업부터 수박·냉면 할인 판매까지
-
5
[내일은 못볼지도] 경기북부 대표 농산물 '개성인삼' 명맥 흔들린다
-
6
[위클리 건강] 한중일에 유독 많은 위암…'예방 효과' 최고 식습관은
-
7
[신상잇슈] 롯데리아 '크랩 얼라이브 버거'·빙그레 '따옴 라이트'
-
8
[금주핫템] 코웨이 '엘리트빌트인 정수기'·헤라 '블랙쿠션 커스텀'
-
9
“전기는 필요하고 송전탑은 안되고”...극심한 주민반발에 또 밀리는 송전망 사업
-
10
[이지 사이언스] 자궁경부암 예방주간 15주년…0.2% 남아 백신접종률 개선책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