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도 '탈한국' 한달새 16조원
최근도 기자(recentdo@mk.co.kr)
입력 : 2024.12.02 17:56:50 I 수정 : 2024.12.02 18:20:31
입력 : 2024.12.02 17:56:50 I 수정 : 2024.12.02 18:20:31
11월 개미자금 썰물, 연초 7배
과도한 규제·제도개선 지연에
투자기회 더 많은 해외로 떠나
◆ 위기의 K블록체인 ◆
국내 코인 투자자들이 썰물처럼 해외로 빠져나가고 있다.
과도한 국내 코인시장 규제에 제도 개선마저 지연되면서 개인투자자들이 등을 돌리고 있는 것이다. 반면 비트코인이 연일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호황기에 접어들었고, 해외 코인거래소나 탈중앙화거래소(DEX) 등에 훨씬 더 많은 투자 기회가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2일 가상자산 분석업체 크립토퀀트에 따르면 지난 11월 한 달간 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고팍스 등 국내 5대 코인거래소에서 스테이블코인의 월간 거래량이 16조1705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테더(USDT)와 서클(USDC) 등 스테이블코인 매수·매도 거래대금을 합산한 수치다.
올해 초 국내 5대 코인거래소에서 스테이블코인 월간 거래량이 2조원대에 머물렀던 걸 감안하면 10개월 사이 7배로 늘어난 것이다. 월간 스테이블코인 거래량이 10조원을 넘어선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스테이블코인은 1개당 가격이 1달러로 고정된 상품으로 시세차익을 노릴 수 없어 투자용으로 거래되지 않는다. 대부분 자산을 해외 거래소 또는 개인 지갑으로 이동하기 위한 수요다. 주식에 이어 코인 투자금까지 '투자 이민' 행렬에 가세한 것이다.
스테이블코인 거래대금은 최근 더욱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지난 9월 5조4517억원, 10월 9조5629억원을 기록했던 걸 감안하면 9월부터 매달 2배로 불어나고 있다. 국내 가상자산 시장은 2일 기준 24시간 거래대금이 23조원에 달한다. 전 세계 거래대금(262조원) 중 9.05%가량을 차지할 만큼 규모가 크다.
이 같은 엑소더스가 일어난 것은 국내 코인시장이 금융당국의 과도한 규제로 상장 자율성이 제한돼 있고 파생거래도 불가능하며 해외 코인거래소 대비 신규 서비스 측면에서도 많이 부족한 상황이 지속된 탓이다. 구체적으로 법인계좌를 불허하고 금융기관이 가상자산 관련 산업에 진입하지 못하도록 규제하는 것 등이 주원인으로 꼽힌다. 금융과 가상자산 산업을 떼어놓는 규제로 인해 2017년 이후 국내 블록체인 산업이 사실상 전멸하면서 국내 코인 프로젝트들이 경쟁력을 잃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최근도 기자]
과도한 규제·제도개선 지연에
투자기회 더 많은 해외로 떠나
◆ 위기의 K블록체인 ◆
국내 코인 투자자들이 썰물처럼 해외로 빠져나가고 있다.
과도한 국내 코인시장 규제에 제도 개선마저 지연되면서 개인투자자들이 등을 돌리고 있는 것이다. 반면 비트코인이 연일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호황기에 접어들었고, 해외 코인거래소나 탈중앙화거래소(DEX) 등에 훨씬 더 많은 투자 기회가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2일 가상자산 분석업체 크립토퀀트에 따르면 지난 11월 한 달간 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고팍스 등 국내 5대 코인거래소에서 스테이블코인의 월간 거래량이 16조1705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테더(USDT)와 서클(USDC) 등 스테이블코인 매수·매도 거래대금을 합산한 수치다.
올해 초 국내 5대 코인거래소에서 스테이블코인 월간 거래량이 2조원대에 머물렀던 걸 감안하면 10개월 사이 7배로 늘어난 것이다. 월간 스테이블코인 거래량이 10조원을 넘어선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스테이블코인은 1개당 가격이 1달러로 고정된 상품으로 시세차익을 노릴 수 없어 투자용으로 거래되지 않는다. 대부분 자산을 해외 거래소 또는 개인 지갑으로 이동하기 위한 수요다. 주식에 이어 코인 투자금까지 '투자 이민' 행렬에 가세한 것이다.
스테이블코인 거래대금은 최근 더욱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지난 9월 5조4517억원, 10월 9조5629억원을 기록했던 걸 감안하면 9월부터 매달 2배로 불어나고 있다. 국내 가상자산 시장은 2일 기준 24시간 거래대금이 23조원에 달한다. 전 세계 거래대금(262조원) 중 9.05%가량을 차지할 만큼 규모가 크다.
이 같은 엑소더스가 일어난 것은 국내 코인시장이 금융당국의 과도한 규제로 상장 자율성이 제한돼 있고 파생거래도 불가능하며 해외 코인거래소 대비 신규 서비스 측면에서도 많이 부족한 상황이 지속된 탓이다. 구체적으로 법인계좌를 불허하고 금융기관이 가상자산 관련 산업에 진입하지 못하도록 규제하는 것 등이 주원인으로 꼽힌다. 금융과 가상자산 산업을 떼어놓는 규제로 인해 2017년 이후 국내 블록체인 산업이 사실상 전멸하면서 국내 코인 프로젝트들이 경쟁력을 잃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최근도 기자]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그러게 금 보다 낫다니까?”…한 달도 안 돼 18% 급등한 ‘디지털 금’
-
2
엔비디아, 사우디에 '블랙웰' 1만8천개 공급…주가 5.6%↑(종합)
-
3
“한국과 중국은 거의 모든 부분에서 라이벌”…트럼프발 관세전쟁 해법은
-
4
공매도 비중 상위 종목
-
5
뉴욕증시, 기술주는 웃고 우량주는 울고…혼조 마감
-
6
웹툰 엔터, 1분기 영업손실 387억원…매출은 작년 수준 유지
-
7
SK하이닉스, 대기업 경영평가 6년만에 1위…삼성전자 2년 연속 2위
-
8
"北, 中에 35개 유령회사 차려 美 등의 업체에 IT인력 위장취업"
-
9
[코스피·코스닥 전 거래일(13일) 주요공시]
-
10
“신세계, 면세업 주가 상승세지만 내수 불황은 장기화”…목표가↑
05.14 07:28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