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업계 "시설투자 세액공제 확대 환영…만족할 수준"(종합2보)
삼성·하이닉스 "정부에 감사·지지"…업계 "개정안 조속 통과 기대"경제단체도 환영 논평…반도체 인재양성 예산 올해 4천800억원 투입
홍국기
입력 : 2023.01.03 16:58:00
입력 : 2023.01.03 16:58:00
![](https://stock.mk.co.kr/photos/20230103/PYH2023010306010001301_P4.jpg)
(서울=연합뉴스) 김승두 기자 =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3일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이 배석한 가운데 반도체 등 세제지원 강화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2023.1.3 kimsdoo@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기훈 홍국기 김아람 신선미 기자 = 정부가 대기업의 반도체 시설투자 세액공제율을 추가 투자 증가분을 포함해 최대 25%까지 올리는 방안을 내놓자 3일 업계에서는 대체로 만족한다는 반응을 보였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경제 복합 위기가 심화하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국가전략산업인 반도체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세제지원 방안을 마련해준 정부에 감사하다"고 말했다.
SK하이닉스[000660] 관계자도 "나라 살림살이가 어려운 상황에도 반도체 등 국가전략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노력해 준 정부의 입장을 적극 지지한다"며 "한국을 대표하는 반도체 기업으로서 글로벌 선도기업이 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관심이 앞으로도 지속되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지금이라도 경쟁국 수준의 세제 지원 혜택을 받게 된 건 환영할 만한 일"이라며 "개정안의 조속한 국회 통과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창한 한국반도체산업협회 부회장은 "우리 경제 상황에서 재정 여건 등을 고려하면 업계에서도 만족할 만한 수준"이라고 평했다.
![](https://stock.mk.co.kr/photos/20230103/AKR20230103067553003_01_i_P4.jpg)
[연합뉴스TV 제공]
경제단체도 환영 입장을 보였다.
대한상공회의소는 강석구 조사본부장 명의의 논평에서 "이번 발표는 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해 투자 부담이 높아 자칫 기업들의 투자 의지가 꺾일 수 있는 상황에서 나온 적절한 조치"라며 "정부의 투자세액공제 확대 조치가 국회에서 순조롭게 입법될 수 있도록 여야 정치권의 협력을 당부한다"고 언급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도 "기업들의 투자 유인을 높여 우리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향상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환영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올해 반도체 산업에 최악의 겨울이 닥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정부의 개정안이 꺼져가는 민간 투자의 불씨를 이어가기 위한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평가했다.
중견기업연합회는 "글로벌 경기 침체로 반도체의 수요 급감과 중국 수출 감소, 대만 TSMC 및 일본 라피더스 반도체 동맹과의 경쟁 격화 등 최악의 상황에 놓인 반도체 산업의 숨통을 틔우는 조치"라고 논평했다.
중소기업중앙회 역시 입장문을 통해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에 기여할 수 있고 중소기업 투자 활성화에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기대를 나타냈다.
함께 세제 혜택을 받게 된 디스플레이 업계에서도 긍정적인 평가가 나왔다.
한국디스플레이협회는 "디스플레이 산업을 국가전략기술에 포함하는 방침과 오늘 발표한 국가전략기술 설비투자 세액공제율 상향을 적극 환영한다"며 "중국과의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는 현 상황에서 우리 디스플레이 업계에서는 더욱더 환영할 만한 일"이라고 반겼다.
![](https://stock.mk.co.kr/photos/20230103/AKR20230103067553003_03_i_P4.jpg)
(서울=연합뉴스) 원형민 기자 circlemin@yna.co.kr 페이스북 tuney.kr/LeYN1 트위터 @yonhap_graphics
정부안에 따르면 반도체·배터리·백신 등 국가전략기술의 당기(연간) 시설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율이 대기업 기준 현재 8%에서 15%로 올라간다.
추가 투자 증가분에 대한 혜택까지 고려하면 시설 투자 세액공제율은 최대 25%까지 올라간다.
중소기업의 경우 당기 공제율이 현재 16%에서 25%로 올라간다.
투자 증가분을 포함한 최고 세액공제율은 35%에 달한다.
이로써 정부는 지난해 12월 23일 국회 본회의에서 관련 법이 통과된 지 11일 만에 추가 감세 방침을 공식화했다.
앞서 국회 본회의에선 반도체 설비투자에 대한 대기업 세액공제를 현행 6%에서 8%로 확대하는 내용을 포함한 '조세특례제한법'(조특법) 개정안이 의결된 바 있다.
하지만 반도체 업계에선 이런 세액공제율이 미국 등 경쟁국과 비교해 한참 못 미친다며 세액공제율 인상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한편 정부는 올해 약 4천8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반도체 산업 필요 인력을 양성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882억원을 들여 반도체아카데미, 반도체특성화대학원 등의 사업을 신규로 추진하고 약 8천300명의 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교육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용노동부 등 그 밖의 관련 부처는 반도체 인재 양성에 올해 총 3천900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https://stock.mk.co.kr/photos/20230103/AKR20230103067553003_04_i_P4.jpg)
[연합뉴스TV 제공]
kihun@yna.co.kr, redflag@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