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불경기 연타에 美은행주 줄하락…나스닥은 기술적 조정 진입
정상봉 기자(jung.sangbong@mk.co.kr)
입력 : 2025.03.05 16:41:01 I 수정 : 2025.03.05 16:42:47
입력 : 2025.03.05 16:41:01 I 수정 : 2025.03.05 16:42:47
S&P500 금융지수 2년만에 낙폭최대
대출 감소 등 경기 둔화 우려에 급락
나스닥 3달전 고점 대비 9.3% 하락
JP모간 “추가하락 불가피”…전망 하향
대출 감소 등 경기 둔화 우려에 급락
나스닥 3달전 고점 대비 9.3% 하락
JP모간 “추가하락 불가피”…전망 하향

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 따르면 미국의 최대 종합 금융 기업 JP모간체이스는 전 거래일 대비 3.98% 하락한 250.25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이날 미국 증시에서는 금융주 위주로 하락세가 이어졌다. 뱅크오브아메리카가 6.34%, 씨티그룹이 6.25% 하락하며 거래를 마무리했고 웰스파고와 모간스탠리 등 주요 금융 종목의 주가도 각각 4.84%, 5.74% 떨어졌다.
금융업종 회사들의 주가 상황을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S&P500 금융업종 지수는 이날 하루에만 3.54% 하락한 614.49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23년 3월 초 미국에서 실버게이트 은행의 파산을 시작으로 연쇄 파산이 일어난 시기에 이어 2년 만에 가장 큰 낙폭이다. 2023년 당시 S&P500 금융업종 지수는 3월 9일에 4.1%, 3월 13일에 3.78%의 하락률을 기록한 바 있다.
금융주 폭락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인한 경제 불확실성과 경기 위축 우려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 등에 대해 부과한 수입 제품 25% 관세는 이날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됐다. 중국산 수입 제품에 대한 10% 추가 관세도 시작됐다.
당초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물가 상승과 함께 이자수익 증대 등 기대감으로 은행 등 금융주가 선호주로 주목받았으나 되려 소비지출과 대출 등 감소 우려가 나오면서 기대심리가 역전된 모양새다.
금리 인하 속도가 더뎌지면서 미국 내 상업용 부동산 부실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것도 주가 하락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샌프란시스코의 상업용 부동산 공실률은 지난 2018년 16.5%에서 지난해 20.1%로 증가했고, 이 영향으로 상업용 부동산 대출이 많은 은행들의 대규모 손실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이날 발표된 IBD/TIPP 경제낙관지수가 둔화한 것도 경기 부진 우려를 키웠다. IBD/TIPP 경제낙관지수는 지난달 52에서 이날 49.8로 줄어들며 예측치인 53.1을 밑돌았다.
계속된 경기 둔화 지표 발표와 증시 부진에 나스닥은 10% 가까이 떨어지며 기술적 조정 국면에 진입했다.
이날 나스닥종합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35% 하락한 1만8285.16에 장을 마감했다.
지난달 후반부터 하락세가 이어져 지난해 12월 16일 2만173.89로 마감하며 기록했던 최근 고점에서 9.36% 하락했다.
미국 증권가에서는 증시 하락세 지속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날 JP모간은 미국 증시 투자 전망을 ‘전술적 약세’로 하향 조정하며 “추가 하락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JP모간은 이날 고객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공격적인 관세 정책이 강행될 경우 미국 국내총생산(GDP) 전망치가 크게 하락할 것”이라며 “기업 실적 기대감도 흔들릴 것”이라고 경고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