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자산운용,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4종' 출시
입력 : 2023.03.20 13:43:05
KB자산운용이 오늘(20일)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 펀드 4종'을 출시했다고 밝혔습니다.
청년펀드로 출시되는 펀드는 ▲KB 지속가능 배당 청년형 소득공제 펀드 ▲KB 지속가능 배당 50 청년형 소득공제 펀드 ▲KB 한미 대표성장 청년형 소득공제 펀드 ▲KB 한국 인덱스 50 청년형 소득공제 펀드 등 4종입니다.
청년펀드는 조세특례제한법 제91조의20에 의거해 청년층의 자산형성을 위해 출시된 펀드로 오는 12월 31일까지 가입할 수 있습니다.
가입 대상은 연간 급여액이 5천만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금액이 3천800만원 이하인 만 19∼34세 이하의 청년입니다.
가입자는 최소 3년에서 최대 5년까지 연간 600만원까지 납입할 수 있으며, 납입금액의 40%(연간 240만원 한도)에 대해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가입자가 5년간 연 600만원씩 청년펀드에 납입한다면 총 납입금액의 40%인 1천200만원에 대해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세율 16.5%(과세표준 연소득 1400만∼5000만원 구간)를 적용하면 최대 5년간 198만원의 세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이석희 KB자산운용 연금WM본부 상무는 "청년펀드는 동일한 전략의 펀드 대비 보수가 저렴한 동시에 소득공제 혜택을 누릴 수 있는 펀드"라고 말했습니다.
KB자산운용의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는 KB국민은행, KB증권, 신한은행, 우리은행, 미래에셋증권, NH투자증권, 교보증권, 키움증권, 대신증권, 경남은행, 부산은행, 제주은행 등에서 가입할 수 있습니다.
[ 진현진 기자 / 2jin@mk.co.kr]
[ⓒ 매일경제TV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청년펀드로 출시되는 펀드는 ▲KB 지속가능 배당 청년형 소득공제 펀드 ▲KB 지속가능 배당 50 청년형 소득공제 펀드 ▲KB 한미 대표성장 청년형 소득공제 펀드 ▲KB 한국 인덱스 50 청년형 소득공제 펀드 등 4종입니다.
청년펀드는 조세특례제한법 제91조의20에 의거해 청년층의 자산형성을 위해 출시된 펀드로 오는 12월 31일까지 가입할 수 있습니다.
가입 대상은 연간 급여액이 5천만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금액이 3천800만원 이하인 만 19∼34세 이하의 청년입니다.
가입자는 최소 3년에서 최대 5년까지 연간 600만원까지 납입할 수 있으며, 납입금액의 40%(연간 240만원 한도)에 대해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가입자가 5년간 연 600만원씩 청년펀드에 납입한다면 총 납입금액의 40%인 1천200만원에 대해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세율 16.5%(과세표준 연소득 1400만∼5000만원 구간)를 적용하면 최대 5년간 198만원의 세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이석희 KB자산운용 연금WM본부 상무는 "청년펀드는 동일한 전략의 펀드 대비 보수가 저렴한 동시에 소득공제 혜택을 누릴 수 있는 펀드"라고 말했습니다.
KB자산운용의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는 KB국민은행, KB증권, 신한은행, 우리은행, 미래에셋증권, NH투자증권, 교보증권, 키움증권, 대신증권, 경남은행, 부산은행, 제주은행 등에서 가입할 수 있습니다.
[ 진현진 기자 / 2jin@mk.co.kr]
[ⓒ 매일경제TV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 관련 종목
05.19 15:30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공매도 비중 상위 종목
-
2
대체거래소(NXT) 애프터마켓 상승률 상위종목
-
3
셀트리온, 보통주 649,351주(1,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
-
4
국민 61%가 꼽은 최우선 민생 과제는…1순위 물가, 일자리·주거 뒤이어
-
5
에코글로우, 20억원 규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
-
6
[우분투칼럼] 아프리카 깊게 알기…함께 가는 첫걸음
-
7
에코글로우, 60억원 규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
-
8
"시니어 보행 돕는다"…강남구 웨어러블로봇 운동프로그램 운영
-
9
옹기축제 열리는 '옹기의 고장'…이젠 주민들이 배우고 만든다
-
10
무디스 신용평가 뭉개버린 베선트 “그닥 신뢰안 해”...뉴욕증시 상승 마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