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잔치 비판에 주저앉은 금융주…SVB 사태로 ‘엎친데 덮친격’
고득관 매경닷컴 기자(kdk@mk.co.kr)
입력 : 2023.03.20 16:02:13
입력 : 2023.03.20 16:02:13
![](https://wimg.mk.co.kr/news/cms/202303/20/news-p.v1.20230320.ccb360425b92432e8a9ff14c6ce80478_P1.jpg)
지난해 하반기부터 올해 연초까지 거침없이 오르던 금융주들의 질주에 제동이 걸렸다. 윤석열 대통령의 ‘돈잔치’ 비판에 이어 미국 실리콘뱅크은행(SVB) 사태가 연이어 터지면서 투자심리가 얼어붙은 탓이다.
20일 증권가에 따르면 금융 대장주 KB금융은 지난 1월 말 5만5900원에서 이날 4만8400원까지 50여일 만에 13.41%나 하락했다.
같은 기간 코스피가 0.17% 빠진 것에 비하면 상당한 낙폭이다.
KB금융뿐만 아니라 신한지주(-16.48%), 하나금융지주(14.66%), 우리금융지주(-13.29%) 등 다른 대형금융지주사 주가도 두자릿수의 하락율을 기록했다.
금융주는 변동성이 작다고 알려져있지만 최근 몇달 동안은 오히려 코스피보다 더 오르고, 코스피보다 더 많이 하락하는 추세다. 지난해 9월 말 저점을 찍은 뒤 올해 연초까지는 강력한 랠리를 펼치기도 했다. 향후 배당 확대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됐기 때문이다.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1월 말까지 넉달 동안 코스피는 12.50% 올랐다. 이 기간 KB금융(26.32%), 신한지주(21.13%), 하나금융지주(33.56%), 우리금융지주(19.53%) 등 4대 금융지주 주가는 코스피보다 2~3배 정도 더 올랐다.
지난달 중순에 나온 윤석열 대통령의 발언으로 금융주에 급제동이 걸렸다. 지난달 13일 윤 대통령은 “은행 고금리로 인해 국민들 고통이 크다”며 “은행의 돈 잔치로 인해 국민들의 위화감이 생기지 않도록 금융위는 관련 대책을 마련하라”고 금융위원회에 대책 마련을 지시했다.
대출금리가 오르면서 서민들의 살림살이는 팍팍해져 가는데 은행권은 예대마진이 확대되며 사상 최대 규모의 실적을 낸 데 대한 비판이었다. 윤 대통령의 발언이 나오면서 배당 확대에 대한 기대감이 사그라들었다. 지난 2월 한달 기준으로 KB금융은 -8.23%, 신한지주 -6.50%, 하나금융지주 -6.87%, 우리금융지주 -4.61%의 하락폭을 나타냈다. 이 기간 코스피는 0.50% 하락했다.
![](https://wimg.mk.co.kr/news/cms/202303/20/news-p.v1.20230320.88c6fa38c0fe418a844e68cad2a2bb98_P1.jpg)
최근에는 실리콘뱅크은행 파산 사태와 같은 금융불안이 주가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 미국 중소은행에 대한 뱅크런 우려, 크레디트스위스의 대규모 손실 등으로 은행주 전반에 대한 투자심리가 악화됐기 때문이다.
증권가에서는 SVB, 크레디트스위스와 같은 상황이 우리나라 금융권에서 벌어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SVB는 예금을 장기채권에 투자했다가 금리가 상승하면서 큰 손실을 입었고 크레디트스위스는 IB 부문에서 대규모 손실이 발생했다. 국내은행은 예금 대부분을 대출로 운용하고 있기 때문에 SVB, 크레디트스위스와 직접적으로 연관짓기는 무리라고 보고 있다.
다만 은행주에 대한 투자심리가 위축된 만큼 단기적으로는 주가 부진은 피할 수 없을 것이란 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또 금융당국이 위기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추가 충당금 적립이나 자본 확충 등을 요구할 경우 배당이 영향을 받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박혜진 대신증권 연구원은 “국내 은행의 경우 자산의 대부분이 여신으로 구성돼 있어 SVB와 같은 미실현 손실이나 CS처럼 급격한 IB 손실 때문에 손익이 악화될 가능성은 희박하다”라면서 “전반적인 투자심리 위축에 따라 주가 변동성이 확대될 수 밖에 없어 당분간은 보수적 관점을 견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전배승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 금융주의 경우 직접적인 부실이나 유동성 위험이 전이될 우려는 낮으나 해외 금융주와 연동된 주가흐름은 이어질 전망”이라며 “은행시스템의 안정요구가 확대될 것으로 보여 자본관련 규제나 경쟁촉진방안 관련 정책기조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기사 관련 종목
02.07 15:30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트럼프가 용납할까”...계엄에 묶였던 ‘이 법’ 패스트트랙 검토한다는데
-
2
연금계좌 혜택 축소 논란? 한화운용 ‘PLUS 고배당주’는 ‘과세 무풍지대’
-
3
제22서경호 실종자 7명 중 1명 의식 불명 상태로 발견
-
4
“딥시크 쇼크라더니, 여긴 일주일 수익률 15% 대박”...날개 단 이 펀드
-
5
IT 방산 스타트업 안두릴 기업가치 40조로 치솟아
-
6
정선군, 동강 물줄기 위 속섬에 청보리·홍메밀 밭 조성
-
7
LG디스플레이, 70여개 협력사 초청 '동반성장 새해모임'
-
8
"LG 그램 프로 신제품 팝업스토어에서 체험하세요"
-
9
토지거래허가 해제 기대감에 '들썩'…대치·잠실아파트 2억 올라
-
10
‘비리 은행’ 이번엔 꼬리자르기 논란...뒤늦게 부행장 과거 행적 물어 경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