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 차례 구축 지연 중이온가속기, 결국 공사대금 소송까지
입력 : 2025.04.01 06:00:02

[IBS 중이온가속기연구소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조승한 기자 = 수년간 구축 지연 끝에 지난해에야 시범운영에 들어간 기초과학연구원(IBS) 중이온가속기 '라온'이 공사대금 소송에도 휘말린 것으로 확인됐다.
31일 과학기술계에 따르면 중이온가속기 건립사업을 수행한 포스코이앤씨는 지난 2023년 IBS에 공사대금 183억원을 추가 지급하라는 내용증명을 보내면서 이 중 일부 금액인 10억원에 대해 일부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포스코이앤씨는 2016년 5천838억원 규모 중이온가속기시설 건설사업 입찰에 컨소시엄 형태로 참여해 시공사로 선정됐다.
대전 유성구 신동지구 내에 중이온 가속기동 등 14개 동의 실험 및 연구시설(건축면적 13만143㎡) 등을 건설하는 것으로 2021년 최종 완공을 목표로 추진해 왔다.
하지만 2017년 전체 완공을 목표로 하던 중이온가속기 사업이 기술 확보 어려움 등으로 계속해 지연되면서 2021년 전체 중 일부인 1단계만 구축하는 등 사업이 늘어졌고, 이에 따라 건설사업도 여러 차례 지연될 수밖에 없었다.
이에 포스코이앤씨 측은 기본설계의 완성도가 높지 않아 실시 설계 어려움이 있었고, 설계 변경도 있었다고 주장하며 공사대금 추가 지급을 IBS에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IBS 측은 턴키(일괄생산) 방식 사업이었던 만큼 추가 대금 지급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IBS 관계자는 "우선 내용증명을 보내고, 소송 결과에 따라 청구 취지를 확장하는 방식으로 소송을 제기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현재 3차 변론까지 진행한 후 감정평가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가 대형연구시설을 구축할 때마다 예산과 기간이 당초 계획보다 늘어나는 사례가 잇따르면서 향후 구축사업에도 지연이 발생하면 이런 소송전이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라온은 무거운 입자를 이온화해 가속한 후 입자와 표적 간 충돌에서 다양한 희귀동위원소를 생산하는 장치다.
1조5천억원을 투입한 대형 사업으로 '단군 이래 최대 과학프로젝트'로도 불려 왔다.
당초 완공 목표 시점은 2017년이었으나 기술 부족과 사업 운영 미숙 등을 이유로 네 차례나 계획이 변경됐다.
결국 2021년에는 전 구간 구축에서 어느 정도 완성된 저에너지 구간과 더 기술 확보가 필요한 고에너지 구간으로 나눠 2단계를 2027년 완공하는 방향으로 틀었다.
shjo@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